주52시간 근무제에 브랜드가치 ‘희비’…레저↑, 주류↓

주52시간 근무제에 브랜드가치 ‘희비’…레저↑, 주류↓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30 10:45
업데이트 2018-09-30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갤럭시·이마트·카카오톡 ‘톱3’…대한항공·아시아나 ‘급락’

올해 하반기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단계적으로 시행되면서 업종별로 브랜드 가치의 등락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가 지난 8월 출시한 갤럭시노트9. EPA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지난 8월 출시한 갤럭시노트9. EPA 연합뉴스
또 이른바 ‘갑질’ 이슈와 기내식 파문 등 잇단 악재에 시달린 양대 국적 항공사 브랜드가 동반 하락했으며, 아파트 브랜드에서는 삼성 래미안의 오랜 ‘아성’이 무너진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브랜드가치 평가회사인 브랜드스탁이 발표한 ‘2018년 3분기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레저, 헬스케어, 리조트 관련 브랜드 순위가 대체로 상승한 반면 주류 브랜드는 하강 곡선을 그렸다.

레저 부문 대표 브랜드인 하나투어는 평가지수인 BSTI(Brand Stock Top Index)가 875.9점을 기록하면서 전분기 26위에서 21위까지 올랐다.

같은 기간 헬스케어 브랜드인 바디프랜드도 46위에서 36위로 상승했고, 멀티플렉스 브랜드인 CGV는 95위에서 무려 23계단이나 상승한 72위에 랭크되면서 대표적인 ‘수혜 브랜드’로 평가됐다.

근무시간 단축에 여름 성수기 효과가 겹치면서 대명리조트(90위), 한화리조트(97위)는 순위권에 새로 진입했다.

브랜드스탁은 “주52시간 근무제에 따라 여가와 관련한 소비 트렌드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따라서 관련 업종의 브랜드는 앞으로 가치가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에 주류와 외식 브랜드는 주 52시간 근무제에 따라 직장인들의 회식 빈도가 줄어들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소주 브랜드인 참이슬은 13위에서 9계단이나 하락한 22위로 내려앉았고, 맥주 브랜드인 카스도 73위에서 100위까지 떨어졌다.

올해 들어 ‘갑질’ 논란으로 도마 위에 올랐던 대한항공은 3분기에도 하락세를 이어가며 46위까지 처졌다. 1분기에는 11위로 ‘톱10’에 근접했으나 2분기에 36위로 급락한 데 이어 또다시 떨어졌다.

아파트 부문에서는 GS건설 자이가 BSTI 846.7점을 얻어 전분기보다 무려 22계단이나 상승한 56위에 오르며 20년 가까이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온 삼성물산 래미안(58위)을 제쳤다.

이밖에 잇단 차량 화재 사고 논란에 휩싸인 BMW는 전분기 75위였으나 이번에는 100위 밖으로 밀려났다.

지난해까지 무려 7년 연속 브랜드가치 1위를 이어간 삼성전자 스마트폰 브랜드 삼성 갤럭시가 올 3분기에도 1위를 지켰고, 이마트와 카카오톡도 1·2분기에 이어 각각 2·3위에 랭크됐다.

이번에 100위권에 새로 진입한 브랜드는 아이시스(79위), 대명리조트(90위), 우리은행(93위), 한글과컴퓨터(96위), 한화리조트(97위), 웅진씽크빅(98위), 스타필드(99위) 등 총 7개다.

100대 브랜드는 평가지수인 BSTI 점수로 선정된다. BSTI는 총 230여개 부문의 대표 브랜드 1천여개를 대상으로 브랜드스탁 증권거래소의 모의주식 거래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주가지수(70%)와 정기 소비자조사지수(30%)를 결합한 브랜드가치 평가모델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