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 385만t 예상…쌀값 끝없는 ‘고공행진’

올해 쌀 생산량 385만t 예상…쌀값 끝없는 ‘고공행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30 10:49
업데이트 2018-09-30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배면적 감소·작황 부진…초과공급물량 대폭 감소

올해 벼 생산량이 사상 처음으로 400만t에 못 미쳤던 지난해보다 더 줄어들어 쌀값이 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밥상물가 ‘들썩’, 쌀값이 고공행진 견인
밥상물가 ‘들썩’, 쌀값이 고공행진 견인 OECD 회원국 가운데 비교적 낮았던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다시 오르고 있다. 4월 한국의 식품 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2.9% 상승해, 상승 폭을 따지면 OECD 회원국 중 10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쌀은 지난해 10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20% 후반 상승률을 기록해 향후 밥상 물가 상승의 큰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3일 오전 서울 이마트 용산점의 정미 코너의 모습. 2018.6.3 연합뉴스
30일 한국농촌경제원 농업관측본부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지난해 397만t보다 2.7~3.6% 감소한 383만~387만t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쌀 생산량은 2009년 492만t을 기록한 뒤 2013~2015년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벼 재배 면적도 73만8천㏊로 지난해 75만5천㏊보다 2.2% 줄어들었다.

벼 재배 면적 감소율은 지난해(-3.1%)와 최근 5년 평균(-2.3%)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 쌀 가격 상승세와 함께 기상 악화로 인해 다른 작물로의 전환이 여의치 못해 벼 재배로 돌아온 농가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국적으로 벼 재배 면적이 감소한 가운데 전남 지역은 6천400㏊ 감소해 감소 규모가 가장 컸고, 전북과 경남이 각각 3천700㏊, 2천200㏊ 감소해 뒤를 이었다.

벼 생육 상황도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에 따라 저조했다.

농가 대상 조사결과 중·만생종의 경우 지난해보다 생육 상황이 ‘나쁘다’는 답이 23.6%로 ‘좋다’는 답 19.9%보다 많았다.

1㎡당 벼알 수는 3만3천531개로, 지난해 3만3천935개보다 1.2% 줄어들었다.

10a당 생산량은 519~524㎏으로 전망돼 지난해 527㎏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지역별 작황은 경기와 강원은 전년보다 개선되겠으나 전남 지역은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벼 재배 면적 감소와 생육 상황 저조에 따른 전체 생산량 감소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초과공급물량은 8만t 상당으로, 최근 5년 평균인 23만t에 비해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해 수확기(10~12월) 평균 쌀값은 지난해보다 높을 전망이다. 다만 2017년산 단경기(새로 수확한 쌀의 공급이 끊겨 쌀값이 오르는 시기. 7월 1일~9월 15일)에 비해서는 낮을 것으로 농업관측본부는 내다봤다.

수확기 평균 쌀값(정곡 80㎏ 기준)은 평년 16만4천357원이지만 2016년에는 12만9천807원으로 크게 낮아졌다가 지난해는 15만3천213원으로 전년보다 18% 오른 뒤 최근 단경기에는 18만 원에 육박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