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통신망 사업 KT서 수주

재난안전통신망 사업 KT서 수주

신형철 기자
입력 2018-10-18 22:18
업데이트 2018-10-19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B구역 7147억 공사 우선협상자로
C구역은 SKT서…2020년 구축 완료
완공땐 재난대응 전국 동시 통신 가능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찰과 소방, 해경을 비롯해 정부기관 간 전국 동시 통신이 가능한 ‘재난안전통신망’(PS-LTE) 사업 수주전에서 KT가 웃었다.

18일 통신업계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KT는 재난안전통신망 3개 사업(A·B·C 구역) 중 A구역과 B구역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C구역은 SK텔레콤에게 돌아갔다. 반면 LG유플러스는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재난안전통신망은 2020년까지 3개 구역으로 나뉘어 구축된다. 단말 비용을 포함한 총 사업 규모는 1조 7000억원 수준이다. 이 중 통신사업 비용은 9024억원이다.

가장 규모가 큰 사업구역은 A구역(서울, 대구, 대전, 제주 등)으로 사업액이 약 4026억원이다. B구역(광주, 경기, 강원, 전북, 전남)은 3121억원, C구역(부산, 울산, 경남, 인천, 충북)은 1878억원이다. KT는 “A구역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됨에 따라 전체 사업의 총괄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았다”며 “재난·해상·철도 3가지 공공안전망 사업을 모두 경험한 강점을 살려 재난망 본사업에서 중소협력사와 C구역 사업자와 함께 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재난 대응용 단일 무선통신망인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과 소방, 지방자치단체, 해경, 군 등 8대 분야 333개 기관, 24만명이 이용하게 된다. 현재는 경찰, 소방, 해경 등이 각각 다른 통신망을 사용해 재난 발생 때 동시 통신이 불가능하지만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면 철도통합무선망(LTE-R), 해상무선통신망(LTE-M) 등과 연동돼 재난대응기관 간 전국 단위의 동시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재난 현장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일원화된 지휘·명령 체계를 갖추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8-10-19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