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안 낳는 한국… 8월 출생아 첫 3만명 이하 추락

아이 안 낳는 한국… 8월 출생아 첫 3만명 이하 추락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10-24 22:48
업데이트 2018-10-25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혼인·가임여성 인구 감소가 큰 영향

작년 동월 대비 33개월 연속 감소세
1~8월 누적 출생자 22만명 역대 최저
8월 사망자는 2만 3900명 최고 기록
이미지 확대
올해 8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만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월별 출생아 수는 5개월째 2만명대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33개월 연속 감소세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 8월 출생아 수는 2만 7300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2800명(9.3%) 줄었다. 8월 출생아 수가 3만명 미만을 기록한 것은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이 번이 처음이다. 같은 달끼리 출생아 수를 비교하면 2016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29개월 연속 최저기록 경신이다.

올 8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 역시 22만 6000명으로 1년 전(24만 7600명)보다 8.7%(2만 1600명) 줄어 역대 최소다. 통상 상반기에 출생아 수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전체 출생아 수가 마지노선인 연간 30만명을 넘지 못할 수 있다.

혼인 건수 감소도 저출산의 원인이다. 올해 8월 신고된 혼인은 1만 9300건으로 1년 전보다 800건(4.0%) 줄었다. 혼인을 많이 하는 26~34세 인구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8월에 신고된 이혼은 9300건으로 지난해 8월보다 200건(2.1%) 줄었다. 다만 황혼이혼의 증가로 인해 1~8월 누계 이혼건수는 7만 1300건으로 1.4% 늘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가임여성 인구가 줄고, 혼인과 출산도 매년 감소하고 있어 당분간 출생아 수 하락 추세는 계속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8월 사망자 수는 2만 3900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1100명(4.8%) 많았다. 역시 8월 기준으로는 1983년 사망자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1~8월 누적 사망자 수는 2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늘었다. 1~8월 사망자수가 20만명대를 기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김 과장은 “출생아 수가 줄고 사망자 수는 늘어나면서 자연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다”면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시나리오로 계산하면 2027년에 인구 자연증가율이 정점을 기록하는데, 이런 추세라면 그보다 인구감소 시점이 빨라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10-25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