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뇌경색 등 대비”…다양해진 장기간병보험

“치매·뇌경색 등 대비”…다양해진 장기간병보험

조용철 기자
입력 2018-10-30 22:28
업데이트 2018-10-30 2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보사들 진단·생활자금 지급 상품 내놔

치매와 뇌경색, 퇴행성 질환 등 장기 간병이 필요한 질병의 발병률이 크게 높아지면서 치매·장기간병보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보험사들도 보장 범위를 넓히고 진단자금뿐 아니라 생활자금까지 지급하는 치매·간병보험을 내놔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30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장기 간병이 불가피한 치매 유병자는 2015년 기준 64만 8000명에서 2024년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의료·간병비를 미리 대비하지 않을 경우 급격한 소득 감소, 노후 부실화까지 이어질 수 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에 따르면 65세 이상 연령의 평균 투병 기간은 6.1년, 의료·간병비는 3228만원이다. 투병 기간이 10년 이상으로 늘어나면 경제적 부담이 평균 4435만원으로 늘어난다.

생명보험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2017년 9월부터 치매 국가책임제를 추진하고 있지만, 장기요양 상태까지 동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준비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현재 생명보험사들이 내놓은 상품은 경도, 중등도 치매까지 전부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로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뇌출혈, 당뇨, 관절염 등 다양한 노후 질환을 동시에 보장하는 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10-31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