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층·빈곤층 소득격차 더 커졌다

부유층·빈곤층 소득격차 더 커졌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18-11-22 23:12
업데이트 2018-11-23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

월평균 소득 974만원 vs 132만원
금융위기 당시보다 소득분배 악화

정부가 일자리에 이어 가계소득까지 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올 1,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저소득층 소득은 급감하고 고소득층 소득은 급증해 소득격차가 더 벌어졌다. 정부가 지난 7월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대책’을 발표하는 등 양극화 해소 방안을 연달아 내놓았지만 아직 효과가 없다는 증거다. 정부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가속 페달을 밟겠다고 밝혔지만 통계 지표가 브레이크를 걸면서 야당 중심으로 소득주도성장 폐기론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가구 월평균 소득은 474만 8000원으로 1년 전보다 4.6% 늘었다. 하지만 하위 20%(1분위) 소득은 131만 8000원으로 7.0% 줄었고 상위 20%(5분위) 소득은 973만 6000원으로 8.8% 늘었다.

특히 1분위 근로소득이 1년 새 22.6% 급감했다. 올 1분기(-13.3%)와 2분기(-15.9%)에 이어 내리막이 더 가팔라지면서 역대 최고 감소폭을 기록했다. 5분위 근로소득은 11.3% 급증했다. 정부가 저소득층 소득 증대를 위해 최저임금을 대폭 올렸지만 오히려 단순노무직 등 취약계층 일자리가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소득격차는 더 커졌다. 상위 20%(5분위)의 평균소득을 하위 20%(1분위) 평균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5.52배를 기록했다. 3분기 기준 2007년(5.52배)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다. 금융위기 당시보다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이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11-23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