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 10명중 4명은 임시·일용직…1년새 14% 늘어

외국인근로자 10명중 4명은 임시·일용직…1년새 14% 늘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2-19 12:14
업데이트 2018-12-19 1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율 38%로 하락…외국인 실업자 30%↑

한국에 온 외국인 임금 근로자의 39.5%는 임시·일용직인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임시·일용 노동자 수는 1년 새 14.2% 늘어났다.

외국인 임금근로자 중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미만인 비중은 37.9%로 전년보다 4.8%포인트 하락했다.

우리나라에서 사는 외국인 중 21.2%는 지난 1년간 차별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과 법무부는 19일 이런 내용의 ‘2018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난 5월 15일 현재 한국에 91일 이상 계속 거주한 15세 이상 외국인 상주인구는 130만1천명으로 전년보다 6.2%(7만6천명) 증가했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이 40%로 가장 많았고 중국(11.5%), 베트남(10.9%)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 임금 근로자 84만6천명 중 임시·일용 노동자는 39.5%인 35만명에 달했다.

같은 기간 한국인 임금 근로자 중 임시·일용 노동자 비중은 23.8%였다.

외국인 임시·일용 근로자는 1년 전에 비해 14.2%(4만3천명) 늘어났다.

외국인 임금근로자 중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미만인 비율은 전년 42.7%에서 올해 37.9%로 하락했다. 반면에,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이상인 비율은 57.3%에서 62.1%로 뛰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물가상승과 최저임금 상승효과로 경계에 있던 외국인 근로자들의 임금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외국인 실업자는 4만5천명으로 전년 대비 29.9%인 1만명 늘었다. 실업률도 4.8%로 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한국에 온 외국인 근로자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젊은 가운데, 젊은 층을 위주로 국내의 악화한 고용상황이 반영된 결과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국내 상주 외국인 중 지난 1년간 차별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21.2%에 달했다.

차별대우를 받은 경험의 주된 이유는 출신국가(60.9%), 한국어능력(25.7%), 외모(6.6%), 직업(2.6%) 등으로 나타났다.

차별대우를 받았을 때 시정을 요구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은 14%에 불과했다.

시정을 요구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 중 효과가 있었던 경우는 36.7%, 효과가 없었던 경우는 63.3%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