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인 줄 알았더니 전자담배…어린이 삼킴사고 우려”

“바나나인 줄 알았더니 전자담배…어린이 삼킴사고 우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2-27 12:15
업데이트 2018-12-27 1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원 “식품·장난감 닮은 제품 다수…주의표시 제대로 안돼”

어린이가 식품이나 장난감으로 오인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제품이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의 한 전자담배 판매점에서 관계자가 전자담배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의 한 전자담배 판매점에서 관계자가 전자담배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화장품과 생활 화학제품(향초·방향제), 전자담배, 라이터 품목을 모니터링 한 결과 73개 제품이 식품이나 장난감 모양을 모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73개 제품 가운데 86.3%에 달하는 63개 제품은 케이크나 과자, 아이스크림, 과일 등의 모양을 하고 있어 어린이들이 식품으로 오인해 삼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목욕할 때 사용하는 입욕제가 막대사탕 모양을 하고 있거나 딸기잼 모양의 팩, 마카롱 모양의 향초, 바나나 모양을 본뜬 전자담배 등이 대표적이었다.

열쇠고리 모양을 한 라이터 등 생활용품이나 장난감을 모방한 제품은 10개(13.7%)였다.

유럽연합 등에서는 식품이나 장난감을 모방한 제품의 판매를 금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가스라이터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제한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73개 제품 가운데 ‘어린이 손에 닿지 않게 보관하시오’와 같이 주의표시를 한 제품은 31개(42.5%), ‘먹지 마시오’와 같은 경고표시를 한 제품은 15개(20.6%)에 불과했다.

실제 최근 3년 9개월간(2015∼2018년 9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생활 화학제품 및 화장품 관련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380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만 3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가 77.6%(295건)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사고 유형도 삼킴 사고가 82.1%(312건)로 대부분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주의 및 섭취 경고가 표시되지 않은 제품 사업자에게 표시사항 개선을 권고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환경부, 국가기술표준원, 기획재정부 등 소관 부처에 식품이나 장난감 모양을 모방한 제품의 유통·판매를 규제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