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입맛 사로잡는 국산 키위, 외국산 공세에 경쟁력 강화 시급

소비자 입맛 사로잡는 국산 키위, 외국산 공세에 경쟁력 강화 시급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12-30 17:42
업데이트 2018-12-31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칠레산 무관세… 1년 뒤 뉴질랜드산도

농가 관수시설 등 정부 지원 못 받아
헐값 미국산에 日수출도 점점 밀려나
이미지 확대
국내에서 재배한 키위.  한국키위연합회 제공
국내에서 재배한 키위.
한국키위연합회 제공
최근 수확을 끝내고 출하된 키위가 겨울철 건강 과일로 떠오르고 있다.

30일 사단법인 한국키위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수확을 마친 키위가 본격 출하되면서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흔히 ‘참다래’로 불리는 키위는 수확한 뒤 일정 기간 익혀서 먹는 후숙(後熟) 과일이다. 국내에서는 전남, 경남, 제주 지역 20여개 법인에 소속된 2000여개의 재배 농가에서 국산 키위를 생산하고 있다.

키위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찾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다. 골드 키위에는 엽산, 비타민C, 비타민E가 많이 함유돼 있다. 또 식이섬유는 사과의 3배 수준으로 다이어트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혈당지수(GI) 수치가 35로 매우 낮은 식품으로 지방을 쉽게 소모할 뿐 아니라 지방이 적게 축적돼 체중 조절에 좋다. 과즙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악티니딘이 들어 있어 고기를 먹은 뒤 후식으로 먹으면 단백질 소화를 도와준다.

골드키위에는 오렌지의 2배에 달하는 비타민C, 사과의 6배나 되는 비타민E, 과일 중 가장 풍부한 엽산 그리고 칼륨, 칼슘, 인 등 무기질이 다량 함유돼 있다. 골드키위와 무화과를 접목해 만든 레드 키위는 17~20브릭스 이상의 당도로 신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춘연 한국키위연합회장
이춘연 한국키위연합회장
한국키위연합회는 외국산 키위보다 맛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농업기술센터 등의 키위 연구진들이 끊임없는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춘연 한국키위연합회장은 “현재 칠레산 수입 키위는 무관세로 들어오고 있고, 뉴질랜드산 제스프리는 2020년부터 무관세로 전환될 예정이어서 국내 키위산업 경쟁력 제고가 시급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어 “매년 일본에 1000여톤의 키위를 수출했으나 국내 인프라 부족으로 지금은 미국산이 헐값으로 일본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외국산 제품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제품 연구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12-31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