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부동산 투자·자녀 유학이 해외송금 판 키웠네

동남아 부동산 투자·자녀 유학이 해외송금 판 키웠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7-05 16:02
업데이트 2019-07-05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년 연령대별 송금 국가와 연간 송금 평균 금액
2018년 연령대별 송금 국가와 연간 송금 평균 금액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부동산 투자와 중고등학생 자녀 유학이 해외 송금 규모를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해외 송금·환전 이용현황 분석’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해 동안 KEB하나은행을 통해 해외송금과 환전 거래를 이용한 내국인과 기업 고객 거래를 분석한 결과다. 내국인은 1인당 평균 3만 6000달러를 3차례에 걸쳐 송금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석 결과 동남아시아가 부동산 투자처로 주목을 받았다. 해외부동산 투자 국가 1위는 미국이 31.9%로 가장 많았지만, 말레이시아(24.9%)와 베트남(21.6%)이 각각 2, 3위에 올랐다. 기업 고객도 해외 부동산 직접 송금이 2017년에 비해 4.1% 늘었다. 부동산 투자를 위해 베트남에 송금한 금액은 1인당 평균 15만 6691달러였다. 미국(97만 6905달러)이나 캐나다(50만 3751달러)에 비해 낮았다.

고은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고 증시가 부진하면서 해외 부동산 투자수료가 늘고 있다”면서 “부동산 투자처가 다양해지고 동남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녀 유학을 위한 송금에서는 대학생보다는 중고등학생 유학을 위한 평균 송금금액이 더 높았다. 고등학생 이하 유학생 자녀는 3만 8719달러를, 대학생 자녀에는 2만 2859달러를 보냈다. VIP 고객은 자녀는 미국(63%)에 대부분 보냈지만, 일반 고객은 미국(38%), 캐나다(21%), 영국(8%), 호주(6%) 등으로 나뉘었다. VIP 고객은 미국 유학생에 연 5만 2036달러를 보냈고, 일반 고객은 3만 7581달러를 송금했다.

핀테크(금융+기술) 애플리케이션에서 환전 기능이 늘어나면서 은행 창구를 이용한 환전이 줄어드는 추세다. KEB하나은행에서 지난해 1월 창구 환전 비중이 62%였지만 연말에는 47%로 줄었다. 토스와 제휴한 환전은 일본 엔화(42.6%)가 미국 달러(30.25) 보다 인기였다.

고 연구원은 “은행 영업점 환전 거래 중 해외 여행을 가지 전에 환전하는 경우는 14%에 불과했고 51%는 남겨온 외화를 재매도하기 위해서였다”라면서 “은행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