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11월 출시…수요자 접근성·효율성 높일 것”

“앱 11월 출시…수요자 접근성·효율성 높일 것”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10-01 22:24
업데이트 2019-10-02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계문 서민금융진흥원장 간담회

콜센터 상담원 직접 연결 응대율 늘어
청년층 금융 교육 등 정보 제공도 강화
이미지 확대
이계문 서민금융진흥원장 겸 신용회복위원장이 1일 기자간담회에서 서민금융 지원의 효과와 앞으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제공
이계문 서민금융진흥원장 겸 신용회복위원장이 1일 기자간담회에서 서민금융 지원의 효과와 앞으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제공
“이르면 11월에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가 애플리케이션(앱)을 출시해 서민금융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더 끌어올리겠습니다.”

이계문 서민금융진흥원장 겸 신용회복위원장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올해로 출범 3주년을 맞았다. 이 원장은 “전국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47곳 중 25곳을 방문해 보니 서민금융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사회안전망 중 하나인데 몰라서 어려움을 겪은 분들이 많다”며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 방식을 개편했다고 밝혔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올해 통합콜센터를 자동응답(ARS)에서 상담원 직접 연결로 바꾸고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의 상담과 심사 처리를 일부 자동화했다. 그 결과 지난 7월까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고객 응대율이 62% 늘었고, 서민맞춤대출 연계 실적은 79.6% 늘어난 2611억원으로 집계됐다. 앱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종이 없는 창구로 서류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면 상담 시간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 관련 정보 제공도 강화한다. 이 원장은 “청년층이 20만원을 1주일간 쓰고 30만원을 갚는 불법 사금융을 쓰고 있는데, 국가·공공단체, 대학교 등과 연계한 금융교육을 강화할 것”이라며 “지역 신용보증재단, 주택금융공사, 시민단체 등에서 내놓는 대출부터 저축성 서민금융상품까지 비교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채무 조정이 도덕적 해이를 유발한다는 지적에는 “채무 조정 지원자는 평균 채무액이 3000만원대이고, 99%가 추심과 통장 압류 같은 어려움에도 상환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10-02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