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덮친 취업난… 청년백수 166만명 ‘역대 최대’

1020 덮친 취업난… 청년백수 166만명 ‘역대 최대’

김승훈 기자
입력 2020-07-22 20:56
업데이트 2020-07-23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15~29세 경제활동인구조사

이미지 확대
졸업 후 미취업자 1년 새 12만명 늘어
첫 취업까지 10개월… 70%는 사표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 만에 첫 직장을 구하고, 10명 중 7명은 첫 직장을 1년 2개월 정도 다닌 뒤 그만둔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통계청은 15~29세 청년층의 경제활동 상황을 조사한 ‘2020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졸업(중퇴) 후 임금근로자로 첫 일자리를 구한 청년 396만 3000명을 조사한 결과 첫 취업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 기간은 10.0개월로 전년 동월 대비 0.8개월 감소했다. 고졸 이하는 평균 14.8개월, 대졸 이상은 평균 7.2개월 걸렸다.

첫 직장 임금 수준은 150만~200만원 미만이 35.0%로 가장 많았다. 100만~150만원 미만(23.7%), 200만~300만원 미만(20.5%), 50만~100만원 미만(12.2%)이 뒤를 이었다.

첫 직장을 그만둔 청년 임금근로자는 69.6%였으며 이들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8개월이었다. 첫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47.7%)이 가장 많았고 ‘건강, 육아, 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14.3%), ‘임시적, 계절적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12.7%) 순이었다. 첫 직장이 현재 직장인 비율은 30.4%였으며 평균 근속 기간은 26.1개월이었다.

청년층 경제활동인구는 419만 6000명으로 한 해 전보다 19만 4000명 감소했다. 이 중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8만 3000명 줄어든 377만명으로, 2013년(376만 1000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적었다. 실업자는 1만 1000명 줄어든 42만 6000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473만 8000명으로 5만 6000명 늘었다.

최종학교 졸업(중퇴)자 중 미취업자는 1년 전보다 12만명 늘어난 166만명이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7년 이래 가장 많았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는 1년 전보다 9만명 늘어난 80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는 일반직 공무원이 22만 7000명(28.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반 기업체(19만 9000명·24.7%), 기능 분야 자격증 및 기타(16만 6000명·20.6%), 언론사·공영기업체(11만 2000명·13.9%), 고시 및 전문직(6만 5000명·8.1%), 교원 임용(3만 5000명·4.3%) 순이었다. 일반직 공무원 준비자 비율은 지난해(30.7%)보다 소폭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인원은 8000명 늘었지만 코로나19로 시험 일정이 연기되고 언론사·공영기업체 등에 쏠리면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7-23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