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도 외국인은 팔고 ‘동학개미’는 받았다

8월에도 외국인은 팔고 ‘동학개미’는 받았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20-09-07 15:49
업데이트 2020-09-07 16: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외국인 1조660억원 순매도…한달 만 태세전환
코로나19 확산과 공매도 금지 연장, MSCI 조정 여파
올해 외국인 27조 순매도, 개인 투자자 42조 순매수
전문가들 “달러 약세 유지되고 경기 살면 돌아올 것”
연합뉴스
연합뉴스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달 국내 상장 주식을 1조 66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한달 만에 다시 팔자 기조로 돌아선 것인데 국내 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 중 외국인 보유 비중이 30.0%까지 줄었다. 외국인의 팔자세가 이어지면 주가는 물론 환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일단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8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 7810억원어치, 코스닥시장에서 285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코로나19로 국내 주식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인 지난 2월부터 5개월 연속 ‘팔자’를 이어가다 지난 7월 5820억원 순매수로 전환했었다. 우리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반영한 결과라는 평가가 나왔었는데 한달 만에 다시 파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특히 지난달 31일에는 하루동안 외국인이 1조 6000억원 순매도해 1999년 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제전망 악화와 공매도금지 조치의 6개월 연장 발표,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지수 조정 등이 매도세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은 “8월 외국인 매도는 한국시장뿐 아니라 신흥국 전반에 대한 매도로 보면 된다”면서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은 여전히 코로나 리스크가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내 주식시장 전체 시가총액 중 외국인 보유 비중은 지난달 30.0%까지 떨어졌다. 외국인 보유 비중이 30%를 밑돈 건 2016년 7월 12일(29.95%·금융감독원 외국인투자관리시스템 기준)이 마지막이었다. 외국인들은 이달 1~4일에도 7418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올해들어 국내 상장주식 27조 2757억원어치를 순매도한 반면 시장의 ‘주인공’으로 평가받지 못해왔던 개인 투자자들은 ‘동학개미운동’ 등의 여파로 42조 1506억원 어치를 사들여 투자자별 비율이 조정됐다. 개인은 지난달에도 6조 1707억원어치를 샀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언제 돌아올지 예측은 어렵지만 다시 팔자세로 태세를 바꿀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본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들이 대규모 매도했고 지금은 과도기 구간으로 볼 수 있다”면서 “달러 약세가 지속되고 내년 반도체 경기가 좋아진다면 외국인이 다시 매수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9~10월에는 금융시장이 안정을 찾고 원달러 환율이 1180원 밑으로 떨어진다는 전제 하에서 순매수 전환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