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트럼프 확진,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

정부 “트럼프 확진,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

최선을 기자
입력 2020-10-06 14:06
업데이트 2020-10-06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용범 기재부 1차관, 거시경제 금융회의 주재
김용범 기재부 1차관, 거시경제 금융회의 주재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0.6 연합뉴스
“국내 영향 제한적…불확실성은 높아”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판정에 대해 “코로나19가 여전히 중대한 위험임을 상기시키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확진 소식이 알려진 직후 한때 하락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하락 폭은 다소 축소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차관은 “대표적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금리가 오히려 상승했고, 우리나라와 주요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소폭 상승에 그치는 등 단기적인 시장충격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회복 및 여론 추이에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당분간 미 대선 관련 불확실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차관은 “금융시장 내의 위험 선호 분위기와 함께 미 대선 관련 변수, 미·중 갈등, 유럽 국가들의 코로나19 재확산 및 봉쇄조치 강화와 이에 따른 주요국 경기회복 부진 우려 등 금융시장 외부 리스크가 지속함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갖고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추석 연휴 중 발생한 해외시장 변수의 영향으로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제기됐음에도 연휴 이후 첫 거래일이었던 어제 금융시장 주요 지표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어 “시장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확진이라는 단일 뉴스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하면서도 우리 금융시장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이하 현지시간) 월터 리드 군 병원에 입원한 지 사흘 만인 5일 퇴원해 30분 만에 백악관에 돌아와 취재진에게 사진 촬영 기회를 제공한 뒤 건물 안으로 들어가기 전 엄지를 들어 보이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이하 현지시간) 월터 리드 군 병원에 입원한 지 사흘 만인 5일 퇴원해 30분 만에 백악관에 돌아와 취재진에게 사진 촬영 기회를 제공한 뒤 건물 안으로 들어가기 전 엄지를 들어 보이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