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빠른 고령화로 지출 급증… 엄격한 재정준칙 필요”

이주열 “빠른 고령화로 지출 급증… 엄격한 재정준칙 필요”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0-14 22:34
업데이트 2020-10-15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MF 기준 언급하며 정부 준칙 우회 비판
금통위, 0.5% 기준금리 만장일치로 동결

이미지 확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저출산과 고령화 진전으로 연금, 의료비 등 의무 지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을 위해 엄격한 재정준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정부가 발표한 재정준칙 실효성과 기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렇게 답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2025년부터 국가채무 비율을 국내총생산(GDP)의 60%, 통합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GDP의 3% 이내로 관리하는 ‘한국형 재정준칙’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국가 재정 운용에 요구되는 ‘셀프 디시플린’(자기 규율)을 마련한다는 점에선 의미가 상당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2018년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효과적인 재정준칙의 세 가지 기준인 ‘단순성·강제성·유연성’을 언급했다. 재정총량 지표 목표가 단순하고 명쾌하게 제시돼야 하고, 재정준칙 시행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구속력이나 투명한 감시기구를 둬야 하며, 위기 땐 재정정책을 재량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이 총재는 “정부 재정준칙에 대해 이런 각도에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며 “앞으로 국회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최선의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재가 국제통화기금(IMF) 재정준칙 기준을 토대로 정부의 재정준칙 기준이 미흡하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이 총재는 “늘어나는 가계대출 자금이 자산시장으로 과도하게 유입되면 추가적인 금융 불균형 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가볍게 넘길 수 없다”며 “가계부채 억제나 자산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정책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0-15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