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랐지만 일거리 뚝… 소득하위 20% 절반 ‘적자의 늪’

허리띠 졸랐지만 일거리 뚝… 소득하위 20% 절반 ‘적자의 늪’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1-22 18:00
업데이트 2020-11-23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더 악화… 비율 50% 넘은 건 7년만
지출 3.6% 줄였지만 근로소득 10% 급감
코로나 타격에 영세자영업 소득도 8%↓

이미지 확대
올 3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절반 이상이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긴 장마 등으로 일자리가 줄고 내수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영세 자영업자들의 매출마저 곤두박질친 결과다.

2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1분위 적자 가구 비율은 50.9%를 기록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절반 이상이 매달 적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적자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 지출)보다 소비 지출이 큰 가구로, 번 돈 이상을 쓴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 가구들은 버는 돈이 적어 필수 지출만 해도 적자를 보는 구조인데, 코로나19로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3분기 1분위 가구 소득은 매달 163만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근로소득은 55만 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나 급감했고 사업소득도 27만 6000원으로 8.1% 감소했다. 정부의 공적 지원금(월 59만 5000원)이 투입됐지만 소득 감소 폭이 너무 커 소득 감소 흐름을 돌려놓지 못했다. 통계청은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2차 확산으로 내수 소비가 위축된 데다 긴 장마와 집중 호우로 일거리마저 줄어 소득의 65%를 차지하는 근로소득과 19%를 차지하는 사업소득이 각각 10% 안팎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 가구들은 지출을 1년 전보다 3.6%나 줄였지만 적자를 면치 못했다. 지출 규모가 매달 188만 1000원으로 소득 규모(163만 7000원)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평균 적자는 매달 24만 4000원으로, 분기 기준 73만 2000원의 적자가 쌓였다.

1분위 적자 가구 비율이 50%를 넘은 건 3분기 기준으로 2013년 이후 7년 만이다. 5분위(소득 상위 20%) 적자 가구 비율(7.0%)보다 7배 이상 높다. 적자 가구 비율은 소득 분위가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구조다. 2분위는 23.9%, 3분위 14.8%, 4분위 10.6%다. 가구 전체로 보면 21.4%가 적자 가구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1-23 2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