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13년 만에 최고… 홍남기 “물가 상승 당분간 지속”(종합)

소비자물가 상승률 13년 만에 최고… 홍남기 “물가 상승 당분간 지속”(종합)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5-03 08:44
업데이트 2022-05-03 09: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크라 전쟁 영향에 선진국도… 안정 총력”
석유류 34%·가공식품 7%·농축산물 7% 상승
전기요금 인상에 전기료 물가 상승률 6.8%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문재인 정부 마지막으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5.3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문재인 정부 마지막으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5.3 연합뉴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4%대 후반으로 치솟은 가운데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당분간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요 선진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영향으로 유례 없이 높은 물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방금 전 발표된 4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8%로 200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사실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정부는 최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결정한 여러 조치들을 속도감 있게 이행하는 등 물가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라며 “추가적 조치들도 분야별로 적극 시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2022.4.24 연합뉴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2022.4.24 연합뉴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이는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선 뒤 5개월간 3%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4.1%) 4%대를 넘어섰다. 지난달에는 4% 후반까지 뛰었다.

상품 물가를 보면 석유류(34.4%)와 가공식품(7.2%)을 비롯한 공업제품이 7.8% 올랐다. 공업제품의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2.70%포인트에 달했다. 지난달 오름세가 주춤했던 농축수산물도 축산물(7.1%)을 중심으로 1.9% 올랐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4%대 후반으로 치솟았다. 사진은 25일 서울 한 대형마트의 식용유 매대. 2022.4.25 연합뉴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4%대 후반으로 치솟았다. 사진은 25일 서울 한 대형마트의 식용유 매대. 2022.4.25 연합뉴스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6.8% 올랐다. 전기료 물가 상승률은 11.0%였다. 서비스 물가는 개인 서비스가 4.5%, 공공서비스가 0.7%, 집세가 2.0% 오르면서 3.2% 올랐다. 개인 서비스 가운데 외식은 6.6% 올라 1998년 4월(7.0%) 이후 최고였던 지난달과 같았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올랐다. 2011년 12월(3.6%)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도 5.7% 올랐다. 이는 2008년 8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