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폭탄’에 흔들리는 한국 경제

‘고물가 폭탄’에 흔들리는 한국 경제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5-03 17:34
업데이트 2022-05-03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물가 상승률 4.8%…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민생 물가 안정, 尹정부 1기 경제팀 ‘1호 과제’로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2022.4.24. 연합뉴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2022.4.24. 연합뉴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62개월 만에 최고치인 4.8%까지 치솟았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가 급등과 전기요금 인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 회복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다. 문재인 정부 임기 종료 직전 한국 경제에 ‘고물가 폭탄’이 떨어지면서 민생 물가 안정은 윤석열 정부 경제팀이 해결해야 할 1호 과제로 떠올랐다.

통계청은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6.8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고 3일 발표했다. 2008년 10월 4.8%를 기록한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달 4.1%로 4%대에 진입한 이후 한 달 새 0.7% 포인트 수직상승했다.

34.4% 오른 석유류 물가가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휘발유가 28.5%, 경유 42.4%,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가 29.3% 올랐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도 6.8% 올랐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거리두기 해제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4%대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주요 선진국 물가도 유례없이 높은 수준을 이어 가고 있다. 현 정부 경제팀은 물러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