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 쓴 전기차 배터리, 200조원짜리 ‘황금알 낳는 거위’로

다 쓴 전기차 배터리, 200조원짜리 ‘황금알 낳는 거위’로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3-02-13 15:48
업데이트 2023-02-13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배터리 원료 및 소재 샘플과 원통형 배터리. 왼쪽부터 리튬, 원통형 배터리, 니켈, 양극재,코발트. 포스코케미칼 제공
배터리 원료 및 소재 샘플과 원통형 배터리. 왼쪽부터 리튬, 원통형 배터리, 니켈, 양극재,코발트. 포스코케미칼 제공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고 관련 시장이 성장할수록, 향후 다 쓰고 버려지는 폐배터리 역시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배터리를 다시 활용하는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배터리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13일 전 세계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40년 무려 200조원을 훌쩍 넘어선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추출할 수 있는 니켈·코발트·망간·리튬 등 금속들의 무게가 18년 뒤 약 501만t인데, 이를 달러 가치로 환산했을 때 1741만 2000달러(약 22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폐차한 전기차에서 얻은 배터리는 상태가 좋으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른 용도로 재조립해서 쓸 수 있다. 크게는 이것도 다시 사용하는 것이지만, 업계는 엄밀하게 이는 ‘재사용’으로 분류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배터리 내 금속들을 추출해서 다시 가공해 사용하는데, 이것을 재활용이라고 말한다.

늘어나는 전기차만큼 쏟아져 나올 폐배터리는 새로운 환경 문제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어 세계 각국 정부는 물론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은 2018년부터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업체에 재활용 의무를 지우고 있으며, 유럽연합(EU)도 새로 만든 배터리에 재활용한 원료 사용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법안의 시행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중국의 거린메이(GEM)와 화유코발트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재 재활용 기업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한 성일하이텍이 유명하다. 포스코와 영풍, 고려아연 등 기존 금속·소재 회사들도 신사업으로 뛰어든 바 있다.

실제 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전망이 밝은 것으로 높은 효율을 꼽기도 한다. 업계에 따르면 1t의 리튬을 자연에서 채굴하기 위해서는 염수 약 750t 정도를 가공해야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는 28t만 있으면 된다. 최근 배터리 소재 재활용 산업에 뛰어드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재활용에 쓰이는 부산물(스크랩)을 확보하려는 경쟁도 치열한 것으로 전해진다.
오경진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