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계기 WFP 통해 10만t 인도적 지원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 정부의 식량안보 기여를 확대하겠다”며 이같은 후속전략을 공개했다.
尹 “韓도 한 때 식량원조…아프리카 생산 지원”
농식품부 “K-라이스벨트 7개국 벼 종자 보급”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참여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식량·보건·개발·양성평등 확대 세션’에서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 방안을 발표하자 이에 대한 이행계획을 설명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식량원조를 받은 한국의 경험을 언급하며 “취약국의 식량 지원에 앞장서 기아와 질병으로부터 자유를 확대하는데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내년부터 WFP를 통한 인도적 쌀 지원 규모 확대 계획을 밝혔는데, 이는 7년 만의 증량 조치다. 우리나라는 2018년 식량원조협약(FAC) 가입한 뒤 매년 쌀 5만t을 식량위기국의 난민과 이주민 등 300만~400만명에게 지원해왔다. 올해 원조 대상 국가는 예멘, 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시리아, 아프가니스탄이라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정부는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기여 규모 역시 확대키로 했다. 한국은 지난 10년 동안 APTERR을 통해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 라오스, 캄보디아 등 5개국에 총 1만 9000t의 쌀을 지원해왔다. 이 정도면 이미 전체 물량의 약 60%를 지원해 온 셈인데, 내년부터 기여를 더 늘리겠단 것이다.
“G7정상회의서 글로벌 식량안보 기여 알려
책임감 있는 국제사회 일원으로 후속 조치”세네갈, 감비아, 기니, 가나, 카메룬, 우간다, 케냐 등 7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K-라이스벨트 사업도 키워나갈 계획이다. 통일벼 기반 다수확 벼 종자를 생산·보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주고 관개시설 구축, 농기계 보급, 수확 후 처리기술 전수 등 연관산업 및 인프라를 포괄적으로 지원해 나가는 게 K-라이스벨트 사업이다. 올해 벼 종자 2000여t 시범생산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7개국에 매년 벼 종자 1만t을 생산·보급해 연간 약 3000만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는 게 K-라이스벨트 사업의 목표다.
농식품부 측은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우리의 기여를 알리고 책임감 잇는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위상을 확인하였다”면서 “이에 상응하도록 후속 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