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이 성장하는 구글·유튜브에 입지 흔들리는 국민 포털·국민 메신저

거침없이 성장하는 구글·유튜브에 입지 흔들리는 국민 포털·국민 메신저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3-09-21 16:08
수정 2023-09-21 16: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색 엔진과 콘텐츠 플랫폼으로 구글과 유튜브를 이용하는 국내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그간 각각 ‘국민 포털’과 ‘국민 메신저’ 지위를 누려온 네이버와 카카오톡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카카오톡의 경우 월간 실사용자 수(MAU) 기준 1위 자리를 연내 유튜브에 내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국내 이용자가 급하고 있는 글로벌 검색엔진 구글의 다양한 로고. AP 연합뉴스
국내 이용자가 급하고 있는 글로벌 검색엔진 구글의 다양한 로고. AP 연합뉴스
21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카카오톡 MAU는 4196만 6874명으로 1위를 유지했지만, 2위인 구글 유튜브(4162만 7075명)와의 차이는 33만 9799명으로 집계됐다. MAU는 한 달에 1번 이상 해당 서비스를 쓴 이용자 수를 뜻한다. 올해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5개월 연속 감소하며 5월(50만 7487명) 50만명대까지 좁혀졌고, 이후 7월(40만 1120명)에 이어 두 달 연속 역대 최소치를 경신했다.

유튜브는 국내 음원 시장 최대 플랫폼인 카카오의 멜론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 지난달 국내 모바일 음원 시장 MAU는 1위인 멜론(677만 2905명)과 2위인 유튜브뮤직(603만 9715명) 차이가 73만 3190명에 불과했다. 월간 기준 두 플랫폼의 MAU 차이는 지난 7월 처음 100만명 아래로 좁혀진 뒤 그 격차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다.

유튜브는 이미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총사용 시간에서는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앞지른 상태다. 지난달 국내에서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사용 시간은 약 15억 5000만 시간으로 2위 카카오톡(5억 2000만 시간)과 3위 네이버(3억 5000만 시간)의 각각 3배, 4배에 달한다.

웹 기반 검색엔진 시장도 그간 국내 포털 시장의 절대 강자 네이버의 위상이 약화하고 있다. 국내 MAU 웹사이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인터넷 트렌드’ 통계에 따르면 웹 MAU 1위 네이버의 점유율은 지난 1월 64.5%에서 하락해 7개월 연속 50%대에 머문 반면, 구글은 30%대로 올라섰다.
이미지 확대
구글의 콘텐츠 플랫폼 유튜브 로고. AFP 연합뉴스
구글의 콘텐츠 플랫폼 유튜브 로고. AFP 연합뉴스
업계에서는 카카오와 네이버가 국내 시장에 안주해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치중한 근시안적 경영으로 위기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는 자사 상품·서비스를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하기 위해 검색 알고리즘을 조작한 혐의로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6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포털 본연의 검색 서비스 개선이나 기술 개발보다는 이익 창출에 골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IDC) 화재로 카카오톡뿐 아니라 뱅크·페이 기능까지 장기간 중단된 것이 고객 이탈의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