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농민 이끌 농협중앙회장에 강호동 율곡조합장…첫 직선제 ‘시끌’

200만 농민 이끌 농협중앙회장에 강호동 율곡조합장…첫 직선제 ‘시끌’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4-01-25 21:06
업데이트 2024-01-25 2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대 농협중앙회장에 강호동 율곡농협조합장
17년만에 직선제…전국 조합장 1106명 참여
40년 농촌 전문가 “지역 농협이 주인되는 중앙회”

이미지 확대
강호동 제25대 농협중앙회장 당선인. 농협중앙회 제공
강호동 제25대 농협중앙회장 당선인.
농협중앙회 제공
17년 만에 치러진 직선 농협중앙회장 선거에서 강호동(사진·61) 경남 합천군 율곡농협조합장이 당선됐다. 농협중앙회장은 4년 단임제에 비상근이지만 농협 조합원을 대표하면서 인사와 사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민 대통령’으로도 불린다. 경남에서 농협중앙회장이 나온 것은 2004년 이후 20년 만이다.

농협중앙회는 25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실시한 제25대 중앙회장 선거에서 강 당선자가 1차 투표에서 607표를 얻어 1위에 오른 뒤 결선에서 조덕현 동천안농협조합장을 꺾고 당선됐다고 밝혔다. 결선에서는 강 당선자가 781표로 조 조합장(464표)을 317표 앞섰다. 중앙회장 선거는 1차 투표에서 과반을 얻으면 당선되지만, 이번에는 1차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어 1, 2위 후보간 결선을 치렀다.

이날 선거 시작 1시간 전인 낮 12시 30분 농협중앙회 대강당은 1106명의 조합장과 관계자들이 모여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름과 지역이 적인 이름표를 목에 건 조합장들은 일렬로 선 후보들과 “잘 부탁한다”고 악수를 하며 차기 ‘농민 대통령’을 향한 기대와 바람을 전했다.

전남 나주에서 올라온 농민 조모(62)씨는 “간선제였던 지난 선거에선 후보도 유권자도 모두가 친밀한 분위기라 ‘짬짬이’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며 “이번에는 1000명이 넘는 조합장이 참여하다 보니 사전에 특정 후보를 밀어주는 분위기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 농가 현실을 아는 새 회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이미지 확대
제25대 농협중앙회장으로 당선된 경남 합천의 강호동 율곡농협조합장이 25일 당선이 확정된 직후 투표에 참여한 조합장들에게 절을 하고 있다. 곽소영 기자
제25대 농협중앙회장으로 당선된 경남 합천의 강호동 율곡농협조합장이 25일 당선이 확정된 직후 투표에 참여한 조합장들에게 절을 하고 있다.
곽소영 기자
이번 선거는 2007년 이후 17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졌다. 1990년부터 직선제로 치러졌던 농협중앙회장 선거는 1~3대 회장이 모두 비리 혐의로 구속되면서 2009년 간선제로 바뀌었다가 2021년 농협법 개정으로 다시 직선제로 환원됐다.

5선 조합장인 강 당선자는 대구미래대에서 세무회계학을 전공하고 1987년 율곡농협에 입사해 약 40년간 농업·농촌 분야에서 일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농협중앙회 이사를 맡았고 농협경제지주 이사, 상호금융 소이사회 이사, 농민신문사 이사를 지냈다. 그는 2020년 제24대 선거에도 도전했다가 1차 투표에서 3위에 그쳐 고배를 마셨다.

강 당선자는 선거 과정에서 지역 농·축협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무이자 자금 규모를 20조원으로 늘리고 상호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회와 하나로유통, 농협홍삼, 남해화학 등을 보유한 경제지주의 통합을 제시했다. 2012년 농협은 중앙회·경제지주·금융지주 구조로 개편됐다가 10여년 만에 재통합이 추진되는 것이다. 중앙회와 경제지주 통합되면 중앙회 산하에 NH농협은행, NH투자증권 등을 보유한 금융지주만 남게 된다. 다만 중앙회 지배구조 개편은 농협법 개정 사안이다.

강 당선자는 당선 직후 큰절을 하며 “지역 농협과 조합장, 농민을 위해 혁신하라는 말로 받아들이겠다”며 “지역 농협이 주인이 되는 농협중앙회를 만들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강 당선자의 임기는 4년으로 오는 3월 정기 총회 이후 임기가 시작된다.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