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깜짝성장 의미와 전망
최 부총리 “교과서적 경로 복귀”한은 외 별도 브리핑도 이례적
하반기 ‘3고 리스크’는 변수로
반도체 수출에 의존… 신중론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 4. 25. 연합뉴스
최 부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1분기 성장률에 대해 “재정 외끌이가 아닌 민간 주도 성장을 달성한 점, 수출 호조에 더해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반등이 골고루 기여한 균형 잡힌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교과서적인 성장 경로로의 복귀”라고 밝혔다.
윤인대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1.3%임을 확인하는 순간 회복세가 본격화한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2% 초반에서 초중반대로 올라가는 성장 경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는 전 분기 대비 2분기 0%, 3~4분기 0.5%씩만 기록해도 올해 전체의 전년 대비 성장률은 산술적으로 2.6%가 된다고 설명했다. 유가 상승과 원화 가치 하락 등 중동발 변수가 덮쳐도 탄력이 붙은 성장 흐름이 쉽게 꺾이지 않을 거란 의미다. 기재부가 한국은행의 GDP 집계에 대해 별도 백브리핑을 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정부는 오는 6월 말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학자들은 대체로 성장률 상향 가능성엔 동의하면서도 고물가·고환율·고금리 등 ‘3고 리스크’를 변수로 꼽았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강달러(달러 강세) 현상으로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고, 고금리 속에서도 소비가 늘었다”면서 “하반기에 물가가 안정되고 정부가 부양책을 쓰면 연 2.6%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문제가 위험하지만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신중론도 적지 않았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GDP가 반도체 수출에 좌지우지되는 건 슬픈 일”이라면서 “경기 반등의 열쇠인 기준 금리를 인하해야 불확실성이 걷힐 것”이라고 말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해외 경기가 좋아져 반도체 수출이 늘어난 데 따른 지표 개선”이라면서 “하반기 중국 경제 악화로 수출길이 막히면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저효과가 컸고 총선을 앞둔 재정 조기집행 영향도 있다. 연평균 2.6%를 언급하는 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며 “경기회복 신호가 소비·투자 심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부는 희망적으로 보겠지만 유가 흐름, 미국 금리인하 시기, 더딘 국내 민간소비 회복 등을 감안하면 기존 전망치보다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2024-04-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