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용 스마트요금제 출시

노인·장애인용 스마트요금제 출시

입력 2011-11-02 00:00
업데이트 2011-1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T, 업계 첫 도입… 월 1만 5000원 정액제

매달 1만 5000원에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노인 및 장애인 전용 요금제가 처음으로 나왔다. 노인은 기존 요금제보다 56% 할인된 정액제가 도입됐고, 장애인은 청각·언어장애 및 시각 장애로 세분화된 요금제가 출시됐다.

이미지 확대




방송통신위원회와 SK텔레콤은 1일 사회적 취약 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및 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요금제를 인가해 출시했다고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도 연내에 노인 및 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이다.

SKT는 오는 7일부터 만 65세 이상 가입자를 위한 ‘실버스마트 15’ 요금제를 도입했다. 국내 스마트폰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월정액 1만 5000원으로 음성통화 50분, 영상통화 30분, 문자 80건, 데이터 100메가바이트(MB)를 기본 제공한다.

방통위는 통화량이 적은 노인들이 저렴한 요금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애인 요금제는 스마트폰을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장애 특성에 따라 설계됐다. 수화로 대화하는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해 음성통화 대신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올인원 손사랑’을 선보였다. 월 3만 4000원에 영상 110분, 문자 1000건, 데이터 100MB가 기본 제공된다.

또 시각장애인을 위한 ‘올인원 소리사랑’은 음성통화 제공량을 확대한 게 특징이다. 월 3만 4000원에 음성 250분, 문자 50건, 데이터 100MB가 제공된다.

장애인의 경우 통신사의 월 1만 1000원 요금할인 및 정부의 35% 복지 할인 혜택이 추가로 제공돼 한달에 1만 5000원으로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11-02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