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브리웨어… 어디서나 ‘누구’와 연결되는 세상 만들 것”

“AI 에브리웨어… 어디서나 ‘누구’와 연결되는 세상 만들 것”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6-15 17:56
업데이트 2020-06-16 0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현아 SK텔레콤 AI 서비스단장

이미지 확대
이현아 SK텔레콤 AI 서비스단장
이현아 SK텔레콤 AI 서비스단장
이현아 SK텔레콤 인공지능(AI) 서비스단장은 ‘AI 에브리웨어’를 꿈꾸고 있다. 지금은 주로 스마트폰이나 AI스피커 등에서 초기 단계의 AI를 이용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어디에서나 AI로 연결되는 세상이 올 것이라 믿고 있다. AI가 점점 고도화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점이 올 수 있는데 그때 어디에서나 AI에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금부터 ‘AI 생태계’를 차근차근 꾸리고 있다.

지난 11일 서울 중구 사무실에서 만난 이 단장은 “지난해 10월 SK텔레콤이 개발한 AI인 누구를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로 개방했다. 다른 업체의 애플리케이션(앱)이나 기기에도 탑재할 수 있도록 공개한 것”이라며 “농협이 이를 처음으로 활용해 모바일 은행 업무 플랫폼에 누구를 적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SK브로드밴드 IPTV에 누구가 탑재될 때도 ‘꼭 넣어야 하나’라는 내부 반응이 있었다. 본래 사업 영역에 이종의 서비스가 들어오는 것에 위험요소가 있다 본 것”이라며 “하지만 AI와 결합한 IPTV을 내놓으니 시장 반응이 좋았다. 서로 동반 성장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볼보나 르노삼성 차량에도 누구가 기본 탑재됐다. 주방 기기, 인테리어 업체와도 협력 중”이라며 “집과 자동차 그리고 모바일에서 모두 AI를 이용할 수 있다면 ‘유비쿼터스’(언제어디서나)가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AI를 이용한 스마트기술을 미래 먹거리로 보고 끊임없는 투자를 하고 있다. AI서비스단에서는 사람 얼굴 사진 수십만장을 학습한 AI가 영상통화 도중 사람의 얼굴을 ‘아이언맨’의 머리로 바꾸는 등의 기술을 연구 중이다. 이미 누구가 적용된 SK텔레콤의 내비게이션 앱 ‘티맵’은 AI가 영상으로 찍힌 도로 표지판의 글씨를 스스로 인식해 티맵의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카카오와는 AI 분야에서 ‘초협력’을 하자는 데 합의했으며 구체적 방식에 대해 고민 중이다.

이 단장은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아직도 AI를 하고 있느냐며 놀라는 이들도 있다”면서 “회사에서는 현재 AI에 적지 않은 투자를 하고 있다. 통신 위주의 수익창출(BM)만으로는 현재의 자리를 지킬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진정한 의미의 AI비서를 만들어서 2~3년 안에 수익을 낼 것”이라며 “AI가 SK텔레콤의 넥스트 BM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06-1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