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침체기…건설업체 상반된 ‘해법 찾기’] ‘착한 가격’ 아파트 청약 대박…올 하반기도 인하경쟁 쭉~

[부동산침체기…건설업체 상반된 ‘해법 찾기’] ‘착한 가격’ 아파트 청약 대박…올 하반기도 인하경쟁 쭉~

입력 2012-08-20 00:00
업데이트 2012-08-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업체들 사이에 아파트 분양가 인하 경쟁이 번지고 있다. 오랜 미분양으로 자금이 물리는 것보다는 수익률이 낮아도 분양 초기에 털어버리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저렴한 분양가 책정이 부동산 침체기에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유일한 전략이라는 것도 분양가 인하 경쟁을 불러오고 있다.

●저렴한 분양가, 수요자 관심 끌 유일한 전략

올 상반기 주택청약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순위 내 청약을 마감한 아파트의 공통점은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 대우건설이 지난달 공급한 서울숲 2차 푸르지오 아파트는 평균 2.8대1, 최고 1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 59㎡와 84㎡는 물론 중대형 아파트인 114㎡도 2.4대1을 기록했다. ‘대박’을 터뜨릴 수 있었던 요인은 낮은 분양가. 3.3㎡당 분양가를 1600만~1900만원대로 맞춘 것이 주효했다. 주변 시세는 3.3㎡당 1900만∼2200만원을 호가한다.

삼성물산이 강남보금자리지구에서 분양한 래미안 강남 힐즈도 평균 3.57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에서 모두 팔렸다. 이 아파트 역시 분양가를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3.3㎡당 2025만원에 맞춘 전략이 먹혀들었다.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죽음의 도시’로 불리는 인천에서도 대박을 터뜨린 단지가 등장했다. 인천도시공사가 내놓은 남동구 구월동 아시아드 선수촌 아파트 1차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790만원대. 주변 시세보다 100만원 정도 싼 분양가를 내세워 평균 2.4대 1의 청약경쟁률을 보이며 순위 내 마감했고, 높은 계약률로 이어졌다.

업계는 “건설사들이 불경기에 ‘착한 분양가’를 내세워 신규 아파트 수요자들을 청약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이 먹힌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요자의 분양가 인하 압박 가중

저렴한 분양가 전략은 하반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GS건설·호반건설·우남건설·KCC건설·모아주택 등 5개 업체가 이달 말 분양하는 동탄2신도시가 대표적이다. 분양가는 3.3㎡당 1040만원대로 결정됐다.

업체들은 분양가 책정을 놓고 분양시기를 연기하는 등 화성시와 줄다리기를 벌였으나 수요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화성시의 주장을 따랐다.

분양가 심의를 마친 우남건설과 호반건설의 평균 분양가 상한선은 3.3㎡당 각각 1040만원과 1043만원으로 정해졌다. 두 업체 아파트 입지는 KTX역과 가깝고, 상업시설 이용이 편리한 시범단지다. 때문에 입지가 다소 떨어지는 단지에서 공급하는 나머지 4개 건설사 가운데 브랜드 지명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 아파트라도 분양가는 이 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명도 낮은 업체의 분양가는 두 업체 아파트 분양가보다 낮은 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형 건설업체 임원은 “주택시장이 크게 위축돼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이어지면 자금부담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 이미지 추락으로 이어진다.”며 “당초 기대했던 수익률을 포기하고 분양가를 낮추라는 수요자들의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2-08-2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