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만 796건…상반기 주택 거래량 최대

61만 796건…상반기 주택 거래량 최대

류찬희 기자
입력 2015-07-09 18:00
수정 2015-07-09 1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동기 대비 29% 늘어

올 상반기 주택매매 거래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1% 늘어난 61만 796건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지난달 주택거래량도 11만 383건으로 5월(10만 9872건)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같은 달(7만 3535건)보다 50.1% 늘었다.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3월 이후 월별 주택거래량이 지속적으로 10만건을 넘었다.

상반기 거래량은 지역별로 수도권이 30만 9947건으로 지난해보다 43.7% 많았다. 서울의 주택거래량은 11만 782건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59.2% 증가했다. 지방의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30만 849건으로 지난해보다 16.8% 증가했다. 증가폭은 수도권이 지방보다 2배 넘었다. 유형별로 거래량은 아파트(42만 4661건), 연립·다세대(10만 5965건), 단독·다가구(8만 170건) 순으로 집계됐다. 증가율은 아파트와 단독·다가구 주택이 28% 정도를 기록한 반면 연립·다세대는 33.6%나 늘었다.

연립·다세대의 주택거래량이 증가한 것은 아파트 전셋값이 오르면서 주택 구매를 원하는 실수요층이 비교적 낮은 가격에 살 수 있는 연립·다세대로 눈을 돌렸기 때문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지난달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 가격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강보합, 수도권 일반단지는 보합, 부산·대구 등 지방단지는 강보합을 보였다.

세종 류찬희 기자 chani@seoul.co.kr
2015-07-1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