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동 재건축 이달 10여건 매매
주택시장에 여름 비수기가 사라졌다. 예년 같으면 거래가 급감하는 계절이지만 올해는 매매, 전세 거래량이 활발하다.12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서울,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 여름 비수기가 사라졌다. 서울 강남·서초·송파 일대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수요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면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강남 개포동 일대 재건축 아파트는 이달에만 10여건 거래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주택 거래량은 2006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인 61만 796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1% 증가했다. 6월 거래량도 전년 동월 대비 50.1% 늘어났다. 특히 상반기 거래량은 수도권이 43.7%나 증가했고, 6월 거래량은 전년 동월 대비 수도권은 84.7%나 늘어나 서울 수도권 주택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대차시장도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거래는 물론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던 예년과 달리 거래량이 늘어나고 전셋값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월세 전환이 증가하면서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은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7월 들어 2주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달 말보다 0.56% 상승했다. 2010년 이후 7월 전셋값 상승률로는 가장 높은 수치다. 최근 7월 중 가장 오름폭이 컸던 2013년(0.44%)의 한 달치 상승률보다 높다.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도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은 77만 133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했다. 6월 한 달치 거래량도 5월보다 8% 증가했고,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12% 늘어났다. 전세는 43만 6711건, 월세는 33만 4621건이 거래됐다. 전세와 월세 모두 지난해보다 각각 0.6%, 5.5% 늘었지만 거래량 증가 폭은 월세가 훨씬 컸다.
월세 전환이 증가하면서 전세 물건은 더욱 귀해지고 전셋값도 오르고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7단지 아파트 66㎡ 전셋값이 4억∼4억 2000만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00만원 정도 올랐다. 판교 신도시 산운마을 13단지 84㎡ 아파트 전셋값도 봄 이사철보다 1000만원 정도 올랐다.
류찬희 기자 chani@seoul.co.kr
2015-07-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