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기준시가 오피스텔 ‘청담퍼스트타워’…10위권 8곳 강남3구

최고 기준시가 오피스텔 ‘청담퍼스트타워’…10위권 8곳 강남3구

입력 2015-12-29 13:59
업데이트 2015-12-29 1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업용 건물은 분당 호반메트로큐브 1위…㎡당 1천919만원국세청, 2016년 새 기준시가 고시…오피스텔 3년 만에 최고 상승률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의 오피스텔 기준시가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2013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상가건물 기준시가도 반등했다.

국세청은 29일 수도권과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의 상업용 건물과 오피스텔의 새로운 기준시가(2016년 1월1일 기준)를 고시했다.

오피스텔은 전년 대비 평균 1.56%, 상업용 건물은 평균 0.83% 상승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2013년 비교적 큰 폭인 3.17% 오른 뒤 2014년(0.91%)과 2015년(0.62%) 두 해 연속으로 0%대 상승률에 그쳤다.

2009년부터 내리막길을 걷던 상업용건물 기준시가는 2012년 반짝 올랐다가 2013년 이후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하고서 3년 만에 반등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가 오른 것은 전세가격 폭등으로 대체 수요가 발생한 영향이 컸다.

저금리 여파로 수익성 부동산 임대 수요가 생기면서 상가건물 기준시가도 올랐다.

이번에 조정된 기준시가는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기준시가는 취득 당시의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양도소득세를 산정할 때나 상속 또는 증여할 때 세금을 부과하는 잣대로 활용된다.

이번 기준시가 고시대상은 오피스텔이 46만1천337호로 전년보다 9.7% 늘었고, 상업용 건물은 49만8천320호로 1.5% 증가했다.

가장 비싼 오피스텔은 서울 강남의 청담퍼스트타워로 ㎡당 558만5천원이다. 평당(3.3㎡)으로 환산하면 약 1천843만원이다.

새 건물인 청담퍼스트타워는 이번에 처음으로 기준시가가 매겨졌다.

이어 서울 서초의 강남아르젠(이하 ㎡당 526만6천원), 서울 강남 청담의 피엔폴루스(508만6천원), 서울 강남 신사의 현대썬앤빌(466만4천원) 순으로 높았다.

상위권에 새로 진입한 경기 성남 분당의 디테라스(459만7천원)는 서울 강남 청담의 네이처 포엠과 함께 공동 5위에 올랐다.

오피스텔 기준시가 상위 10곳 가운데 8곳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있다. 특히 강남구에 6곳이 있고 이 가운데 4곳은 청담동에 있다.

서울이 아닌 곳은 5위인 성남 분당구의 디테라스가 유일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39%로 상승폭이 가장 크고 그다음이 광주(3.23%)였다.

대전(0.91%)과 울산(0.77%)은 8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인 7∼8위를 차지했다.

서울은 1.53%로 8개 시도 평균과 비슷한 수준으로 4위에 올랐다.

상업용 건물 중에는 경기 성남 분당의 호반메트로큐브가 ㎡당 1천919만3천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최고 기준시가 건물 1위에 올랐다.

2위는 서울 중구 신당의 청평화시장 건물(1천564만7천원), 3위는 서울 종로 동대문종합상가 디동(1천496만7천원), 4위는 서울 중구 신당의 신평화패션타운(1천395만5천원), 5위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1차 주구쎈터A동(1천373만9천원)이 차지했다.

대구가 8개 지역 중에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상승률이 5.97%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부산(2.18%)이 따랐다.

서울(-0.57%)은 상승률에서 최하위로 밀렸다. 서울 외에는 울산(-0.39%)이 전년 대비 기준시가가 떨어졌다.

이번 고시 내용은 31일 오전 9시부터 홈택스(www.hometax.go.kr)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기준시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내년 1월4일부터 2월3일까지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나 관할 세무서에서 재산정 신청을 할 수 있다.

재산정 결과는 내년 2월26일까지 통보될 예정이다.

고시 관련 문의는 콜센터(☎1644-2828)로 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