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률 ‘반토막’…전셋값 67개월 만에 하락

서울 집값 상승률 ‘반토막’…전셋값 67개월 만에 하락

류찬희 기자
입력 2018-04-02 22:32
업데이트 2018-04-02 2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달 만에 0.94%→ 0.55% ‘뚝’

서울 집값 상승세가 크게 둔화하고, 전셋값은 5년 7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지난달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0.55% 상승했다. 집값은 아직 오름세지만 2월(0.94%)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큰 폭으로 내렸다.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발표 및 이주시기 조정 등에 따른 재건축 아파트 시장이 위축되면서 가격이 내렸고 보유세 개편, 금리 상승 등으로 일반 아파트도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상승세가 둔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 주택 가격 하락은 강남권 아파트가 주도했다. 재건축 사업 초기 단계인 아파트 호가는 가구당 2억~3억원씩 떨어졌다. 서울 집값 상승률 둔화로 전국 집값 상승률도 0.12%로 전월(0.20%) 대비 축소됐다.

지방 주택가격은 전월과 같은 0.04% 하락세를 이어 갔다. 경남(-0.25%)·울산(-0.24%)·충남(-0.19%)·충북(-0.09%)·부산(-0.08%) 순으로 집값 하락폭이 컸다. 그러나 세종(0.21%)·전남(0.14%)·강원(0.09%)은 전월 대비 가격이 올랐다.

전셋값 하락은 더욱 확연해졌다. 월간 기준으로 서울 주택 전셋값이 떨어진 것은 2012년 8월 이후 처음이다. 봄 이사철 수요 감소, 세입자의 주택 매수 전환에 따른 전세 수요 감소, 수도권 신규 아파트 입주 증가, 재건축 이주시기 조정 등으로 수요가 분산됐기 때문이다.

서울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한 달 새 0.13% 하락해 2월(-0.09%)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울산(-0.43%)이 가장 많이 떨어졌고, 경남(-0.36%)·경기(-0.23%)·경북(-0.16%) 등에서 전셋값 하락폭이 컸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전셋값이 0.22% 떨어져 하락을 주도했다. 연립주택 전셋값은 0.04% 떨어지고, 단독주택은 보합을 나타냈다.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월세도 전월 대비 낙폭이 커졌다.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0.07% 떨어져 2월(-0.05%)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8-04-0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