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9명 “대출·부모 도움 없이 내집 마련 못해”

청년 10명 중 9명 “대출·부모 도움 없이 내집 마련 못해”

류찬희 기자
입력 2018-08-22 18:04
업데이트 2018-08-22 19: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학회, 19~39세 296명 설문조사
85% “구입 의사”… 매입 가격 “2억~3억”


청년 10명 중 9명은 대출이나 부모님 손을 빌리지 않고는 내 집을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들이 원하는 예상 집값도 2억~3억원대로 현실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부동산학회는 김선주 경기대 융합교양학부 초빙교수가 실시한 ‘청년 세대의 주택자산형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22일 내놓았다. 연구는 19∼39세 청년 296명(유효답변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청년들의 주택 구입 욕구는 충만하지만 구입 능력은 한참 떨어지는 현실을 지적한 논문이다.

논문은 응답자의 85%는 ‘주택 구입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집값의 61% 이상을 자신의 돈으로 마련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23%에 그쳤다. 주택 구입 자금의 61∼80%를 마련한 사람은 17%, 구입 자금의 81∼100%를 확보한 경우는 6%에 불과했다.

주택 구입 예상 연령대는 ‘30대 후반’ 44%, ‘30대 초반’ 41% 등 3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다수 청년이 30대에는 어느 정도 돈을 모아 집을 사고 싶다고 생각한 셈이다.

주택 매입 가격은 ‘2억원’(34%)과 ‘3억원’(32%)이 절반을 넘었다. 주택 구입 지역은 ‘서울 근교 경기도’와 ‘서울’이 각각 64%와 30%를 차지했다. 원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73%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3월 7억원, 전국 주택 평균가격은 3억 3081만원으로 다수 응답자가 예상한 집값을 웃돌았다.

주택 구입 시 타인 자본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77%가 ‘대출’, 13%가 ‘부모님’을 꼽았다. 타인 자본 상환 계획은 ‘원리금 상환’ 67%, ‘투자 수익’ 14%, ‘정부보조금’ 12% 순이었다.

김 교수는 “경기 상황이 나빠지거나 대출금리가 인상되면 자기 자본의 축적이 미약한 청년 세대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정부는 청년 세대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상환 방식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8-08-23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