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 막차타요”… 추가 규제 전 분주해진 부동산 시장

“어서 막차타요”… 추가 규제 전 분주해진 부동산 시장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0-06-14 20:04
업데이트 2020-06-14 2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갭투자 방지·대출규제 강화 검토

용산 서부 이촌동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내건 시세 안내. 연합뉴스.
용산 서부 이촌동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내건 시세 안내. 연합뉴스.
정부 추가 규제 전 서둘러 매매 분위기
‘비규제 지역’ 인천·군포·안산 매매 붐


최근 수도권 집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정부가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서 부동산 시장도 규제 강화에 대비해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14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안에 대한 검토 작업에 돌입했다. 수도권 비규제지역을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으로 묶는 방안, 갭투자로 인한 시장 왜곡 완화 방안, 9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 대출 규제 강화 방안 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자 규제가 강화되고 대출 길이 막히기 전 서둘러 집을 팔고 사려는 움직임이 수도권 곳곳에서 포착됐다. 서울 서초구의 부동산 중개인은 “급매물 소진 이후 1억~2억원 비싼 물건만 남았는데도 더 오르기 전에 사려고 문의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양천구의 부동산 중개인은 “목동 5단지 전용면적 95㎡가 지난달 17억원에 거래됐는데 지금은 18억~19억원으로 올랐고, 6단지 94㎡도 지난 2월 10억 9000만원에 팔렸는데, 지금은 11억 5000만원에 거래된다”고 전했다.

인천·군포·안산 등 수도권 비규제 지역에서도 주말 내내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특히 이 세 곳은 최근 3개월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3.28~9.44%에 달해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일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꼽힌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이미 비규제지역으로 자금이 흘러가 풍선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사후 규제로는 일반 수요자들이 오히려 손해를 볼 우려도 있다”면서 “정부가 규제 의지가 있다면 이런 사후 조치보다 선제 조치를 해야 했었다”고 지적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은 “대출 규제 강화는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면서 “정부가 주택공급이 적다는 시장의 우려를 충분히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oc.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