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에 취약계층 대출 연체율 ‘껑충’

경기 부진에 취약계층 대출 연체율 ‘껑충’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8-10-07 21:10
업데이트 2018-12-10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햇살론 연체율 8%… 2016년比 3배 급등
신용 9등급은 6.2%→20.5% 수직 상승
미소금융 작년말 3.9%→올 4.6%로 ↑
대부업체 6.3%·저축銀 4.8%로 올라
이미지 확대
7일 서울 시내 한 제2금융권 업체 앞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15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가 저소득층 등 취약 계층과 제2금융권 중심으로 부실화할 조짐을 보이고 금리 인상 우려까지 커지면서 이 계층들에 대한 정책 대응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7일 서울 시내 한 제2금융권 업체 앞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15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가 저소득층 등 취약 계층과 제2금융권 중심으로 부실화할 조짐을 보이고 금리 인상 우려까지 커지면서 이 계층들에 대한 정책 대응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시중금리가 들썩이는 가운데 노인과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대출 연체율이 수식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60%를 넘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도 15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리 인상이나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 부실 대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지 확대
7일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민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의 연체율(대위변제율)은 지난 7월 기준 8.10%이다. 2016년 말 연체율(2.19%)보다 3배 이상 치솟은 것이다. 햇살론은 저소득층과 저신용자에게 생계비나 사업운영자금을 낮은 금리로 빌려주는 상품이지만 최근 경기 부진으로 연체율이 뛴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개인 신용등급이 낮은 햇살론 대출자의 연체율이 급등했다. 9등급 대출자의 연체율은 2016년 말 6.22%에서 지난 7월 20.54%로 뛰었다. 같은 기간 8등급 연체율도 14.47%에서 19.85%로 상승했다.

저신용자에게 담보와 보증 없이 창업자금 등을 빌려주는 ‘미소금융’ 연체율도 지난해 말 3.9%에서 지난 7월 4.6%로 뛰었다. 시중은행에서 내놓은 서민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 연체율도 같은 기간 2.3%에서 2.5%로 올랐다.

저신용자가 몰리는 대부업권 연체율도 상승세다. 대부업 상위 20개사의 지난 7월 연체율은 6.3%로 지난해 말보다 0.9% 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60세 이상 남성 연체율은 9.8%에 달했고, 19세 이상 30세 미만 남성도 8.4%로 뒤를 이었다. 은퇴하거나 취업을 하지 못해 기존 금융권 대출이 어려워 대부업체를 찾았다가 연체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사의 연체율도 상승했다. 민주평화당 장병완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4.34%던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 6월 4.80%로 올랐다. 여신전문금융사도 같은 기간 3.33%에서 3.62%로 올랐다.

부동산담보대출에서도 위험 신호가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택금융공사를 포함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중 LTV가 60%를 넘는 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153조원으로 추산된다. 아직 전체 주담대 연체율은 0.70%에 그치고 있지만 LTV가 높은 대출은 금리가 오르거나 경기가 나빠지면 터질 수 있는 ‘뇌관’으로 꼽힌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10-08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