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정 PB의 생활 속 재테크] 트럼프·바이든 누가 돼도 원화 강세…내년 증시 ‘반도체·2차 전지’ 긍정적

[임학정 PB의 생활 속 재테크] 트럼프·바이든 누가 돼도 원화 강세…내년 증시 ‘반도체·2차 전지’ 긍정적

입력 2020-10-28 18:55
업데이트 2020-10-29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하반기 가장 중요한 이슈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다음달 첫째 주에 진행하는 ‘미국 대선’이다. 대선 결과에 따라 글로벌 정책뿐 아니라 경제·산업을 주도하는 미국의 방향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내년도 투자 전략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 미 대선이 장기적으로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해외 주식 비중이 높은 투자자들까지 감안한다면 구체적인 투자 전략을 미리 세워 놓을 필요가 있다.

두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보았다. 트럼프가 재선될 시 미국 정보기술(IT) 기업 규제 부담이 완화될 가능성이 크고, 감세 정책으로 경기회복과 경기부양책 연장에 기대감이 있다. 산업 정책으로는 5세대(5G) 모멘텀 강화와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정책도 펼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대로 바이든이 당선되면 경기부양책 규모 확대와 동맹국과의 교역 활성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크다. 또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기업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펼칠 것이다. 두 후보가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정책을 점검해 보면 대규모 부양책을 통한 미국 경기 회복과 코로나19 안정화, 그리고 국가안보 강화라고 볼 수 있다.

투자전략은 국내 투자와 해외 투자 관점에서 각각 세울 필요가 있다. 미 대선으로 한국 증시에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겠지만, 오히려 한국 경제는 원화 강세로 안정적인 상승이 나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올 초 코로나19에도 가장 빠른 회복력을 보여 줬기 때문에 미 대선 결과와는 무관하게 움직일 수도 있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제약바이오 업종은 내년에도 글로벌트렌드를 주도할 업종이어서 한국 증시엔 더 긍정적인 요소가 많다고 볼 수 있다.

해외 주식은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 전략을 추천한다. 트럼프와 바이든이 공통 정책으로 미 경기 회복과 코로나19의 빠른 안정화를 추구하고 있어서 IT와 콘텐츠, 항공, 보안 관련 기업들을 일부 편입하면 좋다. 대선 결과에 따라 정책 관련 업종을 추후 편입하는 전략도 유효해 보인다. 트럼프 당선 시 전통 에너지, 인프라 산업재 종목 중 엑손모빌(XOM), 셰브론(CVX), 캐터필러(CAT) 또는 에너지ETF(XLE US), 산업재ETF(XLI US) 등을 추천한다. 바이든 당선 땐 신재생에너지와 금융, 운송업종 종목 중 넥스트에라에저지(NEE), 아메리칸워터웍스(AWK), 유나이티드파슬서비스(UPS) 또는 신재생에너지ETF(PBW US), 2차전지ETF(LIT US)를 추천한다. 미 대선 이후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을 담은 ‘한국투자 미국 스위치랩’을 통한 간접 투자도 제안한다.

한국투자증권 영업팀장(순천지점)

2020-10-29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