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노동자 정당한 대가 받아야”… 네이버 노조 설립

“IT 노동자 정당한 대가 받아야”… 네이버 노조 설립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8-04-02 21:12
업데이트 2018-04-03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립 19년 만에 첫 노동조합 출범

자회사·계열사 직원 가입 가능
“수직·권위적 문화로 변해 불통
장시간 노동 관행 개선에 앞장”


국내 최대 포털업체 네이버 직원들이 노동조합을 설립했다. 네이버에 노조가 생긴 것은 창립 19년 만에 처음이다.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화섬노조)은 네이버와 계열사 직원들이 화섬노조에 가입해 ‘네이버지회’를 결성했다고 2일 밝혔다.

네이버노조는 이날 ‘노동조합 설립 선언문’을 사내 직원들에게 보내고 조합원 가입 방법을 알렸다. 노조에는 네이버 법인을 포함해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NBP)과 네이버웹툰, 네이버랩스, 라인플러스, 네이버아이엔에스 등 네이버 자회사 및 계열사 직원이 가입할 수 있다. 화섬노조 관계자는 “지회 설립을 발표한 당일 오전에만 직원 200여명이 가입했다”고 전했다.

네이버노조는 선언문에서 “정보기술(IT) 산업을 이끌며 최고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작한다는 자부심으로 열정을 다한 네이버 노동자들이지만 정당한 노동의 가치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며 “초기 수평적 조직 문화가 사라지고 수직적이고 권위적 문화로 변하면서 소통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고 노조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네이버는 변화가 필요하다”며 “진정한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위한 활동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사회의 신뢰를 받고 건강하게 성장하는 회사를 만들 것 ▲투명한 의사 결정 및 수평적 조직 문화를 만들 것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IT 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연대할 것 등을 활동 목표로 제시했다.

네이버 내부에서는 지난해부터 사원 복지와 장시간 노동, 뉴스 배치 등 네이버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비판 등을 계기로 노조 설립 움직임이 생겨났다.

IT산업 대표 업체인 네이버에 노조가 생기면서 장시간 노동 등 잘못된 노동관행이 개선될지도 주목된다. 이직이 잦은 IT 기업 특성상 노조 설립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네이버 노조 설립을 계기로 업계 전반에 노동자 권리 향상을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8-04-03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