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신소재 이미지센서 공개

삼성전자 신소재 이미지센서 공개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6-27 23:04
업데이트 2018-06-28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이소셀플러스’ 中 MWC에

“카메라 감도 최대 15% 향상”

삼성전자가 신소재를 이용한 이미지센서 기술을 선보이며 업계 1위인 소니 추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27일 이미지센서 신기술 ‘아이소셀플러스’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상하이’에서 선보였다고 밝혔다.

빛을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는 디지털카메라에서 필름에 해당하는 반도체 부품으로, 최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주춤하지만, 스마트폰이 듀얼, 트리플 카메라를 채용하며 대당 카메라 수가 늘어났다. 차량용 블랙박스, 보안장비 등의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정보기술(IT)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츠는 보고서에서 올해 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CMOS) 이미지센서 시장 매출은 137억 달러(약 14조 8300억원)로, 지난해보다 10%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시장에서는 소니가 50%를 넘는 매출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픽셀(화소) 사이에 격벽을 세워 간섭을 줄이는 기술을 상용화한 ‘아이소셀’ 브랜드로 추격하고 있다. 판매수량 기준으로는 소니와 각각 20%대 중후반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경쟁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공개한 신기술은 픽셀 간 격벽의 소재를 금속에서 후지필름의 신소재로 대체했다. 빛을 반사·흡수하던 금속 격벽의 단점을 보완, 광 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여 색 재현성을 높였다. 삼성전자는 “카메라 감도가 최대 15%까지 올라가 어두운 곳에서도 더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후지필름의 야나기하라 나오토 연구개발 통합본부장은 “아이소셀플러스는 우리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신소재를 상용화한 첫 사례”라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양사가 모바일 카메라의 혁신을 선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6-28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