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직원 집단행동…‘기내식 대란’ 일파만파

아시아나 직원 집단행동…‘기내식 대란’ 일파만파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8-07-04 21:04
업데이트 2018-07-05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원연대’ 6~8일 광화문광장서 박삼구 회장 갑질·비리 폭로 집회

오픈 채팅방서 부조리·정보 공유
“당뇨병 승객 저혈당 쇼크 올 수도
승무원은 면세품 판매에 내몰려”
국토부 “안전 문제 예의주시”


하청업체 쥐어짜기 의혹도 확산
朴 회장 “도의적인 책임이 있다”
4일 아시아나항공직원연대가 오픈 채팅방에 공개한 기내식. 밥과 고기만 있는 도시락(위)이나 갈변된 사과 등이 승객들에게 제공됐다. 아시아나항공직원연대 제공
4일 아시아나항공직원연대가 오픈 채팅방에 공개한 기내식. 밥과 고기만 있는 도시락(위)이나 갈변된 사과 등이 승객들에게 제공됐다. 아시아나항공직원연대 제공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대란’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이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최근 불거진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승무원 성희롱 논란과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 하청업체 쥐어짜기 등 ‘갑질’을 성토하면서 대규모 집회 등 본격적인 움직임을 예고하고 있다. 박삼구 회장이 공식 사과를 했지만 구체적인 의혹은 풀리지 않고 있다.
사과
사과 박삼구(오른쪽) 회장 등 금호아시아나그룹 임원진이 4일 서울 광화문 금호아시아나 빌딩에서 ‘기내식 대란’과 관련한 긴급 기자회견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4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임직원들로 구성된 ‘아시아나항공직원연대’가 6~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박삼구 회장 갑질 및 비리 폭로’ 집회를 연다. 임직원들은 지난 2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기내식 공급업체 샤프도앤코코리아의 하청업체 대표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검은색 옷과 흰 국화를 들고 마스크나 가면 등으로 신원을 가린 채 집회에 참석한다.

임직원들은 지난 3일부터 오픈 채팅방을 만들어 회사 내 부조리를 고발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침묵하지 말자’는 카카오톡 익명 채팅방에는 기내식 대란의 원인과 현장 대응 미숙 실태는 물론 하청업체에 대한 불공정 거래 의혹, 금호그룹의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 박 회장의 사익 편취 의혹 등이 쏟아지고 있다. 채팅방은 이날 오전 최대 수용 인원인 1000명을 채웠고, 두 번째 채팅방도 1시간 만에 1000명을 채웠다.

임직원들은 사상 초유의 ‘기내식 대란’이 승객들의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부 승객들은 비행기에 탑승한 후에야 기내식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내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직원은 “당뇨병이 있는 승객들은 저혈당 쇼크가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시아나 측이 기내식 대신 자사의 항공권 결제나 기내 면세품 구입에 쓸 수 있는 30~50달러 상당의 쿠폰(TCV)을 지급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면세품 판매 업무로 기내에 혼란마저 가중되고 있다.

한 객실 승무원은 “승객들이 유효기간이 1년인 쿠폰을 기내에서 바로 사용하려고 해 면세품을 구입하려는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면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업무만 해야 할 착륙 직전까지 카드를 결제하고 영수증을 발급하는 등 면세품 판매 업무로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승객들이 탑승하는 도중에 비상구 문을 열고 기내식을 반입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 당국도 기내식 공급 부족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비행기 착륙 직전인 1만 피트 상공 이하에서는 면세품 판매 업무를 중단할 것을 사측에 지시했다”면서 “승무원 보충과 휴식시간 보장 등도 주문한 상태”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금호아시아나 빌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내식 사태로 불편을 겪은 승객 여러분들과 (스스로 목숨을 끊은) 협력업체 대표께 죄송하다”면서 “유족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청업체 쥐어짜기 의혹에 대해서는 “도의적인 책임이 있다”며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기내식 공급업체를 기존의 LSG스카이세프코리아에서 하이난그룹과의 합작사인 게이트고메코리아로 변경한 것에 대해서는 “기존보다 유리한 계약 조건과 하이난그룹과의 장기적 파트너십을 고려한 것”이라며 1600억원에 달하는 투자금 유치를 위해 LSG를 압박했다는 의혹을 부정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07-05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