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 불안한 1위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 불안한 1위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8-02 22:24
업데이트 2018-08-03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영업익 삼성 35%↓… 애플 17%↑

화웨이 “스마트폰 5년내 1위” 바짝 추격
이미지 확대
반도체 실적을 앞세운 삼성전자가 애플의 세계 최고 영업이익률을 처음으로 제쳤다. 하지만 다른 한 축인 스마트폰 분야에선 애플과 ‘패스트 팔로어’(빠른 추격자) 중국 화웨이 사이 ‘샌드위치 신세’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애플의 ‘초고가’ 전략, 화웨이의 ‘공격적인 점유율’ 전략 사이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언제 내줄지 모른다는 우려가 짙어졌다.

2일 업계 실적 발표를 종합하면 애플의 지난 2분기 영업이익률은 23.7%로 전 분기(26.0%) 대비 소폭 떨어진 반면 삼성전자는 25.4%로 처음 애플을 추월했다. 2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점유율도 1위(20.6%)를 수성했다. 그러나 화웨이(15.7%)가 애플(12.0%)을 따돌리고 2위로 올라선 데다 무선 분야 영업이익이 2조 67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오히려 35% 줄면서 경고음이 커졌다. 애플의 2분기 영업이익이 126억 1000만 달러(약 14조 2110억)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1% 상승한 것과도 대비된다.

미국 경제전문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스마트폰에서 애플은 날았지만 삼성전자는 추락했다”면서 “스마트폰 회사들의 운명이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삼성과 애플은 주력 제품을 비싼 가격에 내놓는 프리미엄 전략을 똑같이 썼지만 결과는 엇갈렸다. 이는 평균판매단가(ASP) 차이에서도 나타났다. 애플은 지난해 출시한 999달러(약 112만원)짜리 ‘아이폰X’ 덕에 지난 2분기 ASP가 724달러(약 81만원)를 기록했다. 반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SP는 약 220달러(약 25만원) 후반대였다. 오히려 화웨이 스마트폰의 ASP가 삼성과 비슷한 220달러 수준이다. 여기에 화웨이도 “3년 안에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 5년 안에 1위로 올라서겠다”는 목표 아래 P·메이트 시리즈로 프리미엄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1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합리적 가격과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신기술로 공략하겠다”고 했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삼성전자가 다음달 9일 공개하는 ‘갤럭시노트9’, 내년 공개할 폴더블폰의 성공 여부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8-03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