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인텔리전트 팩토리에 사업 집중”

삼성SDS “인텔리전트 팩토리에 사업 집중”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8-28 17:32
업데이트 2018-08-28 18: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조 모든 분야에 IoT·AI 등 접목… 불량 원인 탐지·제품 전수조사 효과

삼성SDS가 스마트 팩토리에서 한층 진화한 ‘인텔리전트 팩토리’에 사업을 집중한다고 선언했다.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넥스플랜트’ 플랫폼을 고도화해 삼성 계열사 등 300여개 고객사를 더 확장할 계획이다. 설비, 공정, 검사, 물류 등 제조업 4대 핵심 분야는 물론 생산 현장 바깥인 건물 설계·시공 등 플랜트 분야까지 팩토리를 적용한다.

홍원표 대표이사는 28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연 간담회에서 “제조 기업이 하루 250GB(기가바이트)에 이르는 데이터를 생산하는 시대”라면서 “인텔리전트 팩토리는 제조 전 분야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AI, 클라우드를 접목해 이들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512GB 램, 자동차 전자장비 등 생산품이 고도화하고 설비·공정 과정이 늘면서 공장에서는 하루 수십 TB(테라바이트)급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컨대 512GB D램 공정은 1000여개, 설비는 수만대 수준이다. 설비 한 대에 장착된 센서만 많게는 1000여개나 되다 보니 불량 원인을 찾기도 쉽지 않다. 사람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새 정보기술을 적용해 예측, 대비해 주는 인텔리전트 팩토리가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다.

넥스플랜트는 설비에 부착된 IoT 센서로 수집한 빅데이터를 자사 ‘브라이틱스 AI’로 분석, 실시간 이상을 감지하고 장애 시점을 예측한다. 불량 검사도 기존에는 5% 샘플 추출로 품질 검사를 했지만, AI를 적용한 가상검사는 전수검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시장 규모는 2015년 1200억 달러(약 133조원)에서 2020년 1700억 달러(약 189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시장은 약 5조원 규모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8-29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