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미니스톱 인수전…점포 확대 기회 될까 계륵될까

롯데·신세계 미니스톱 인수전…점포 확대 기회 될까 계륵될까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10-02 17:54
업데이트 2018-10-02 18: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와 신세계가 편의점 미니스톱의 예비입찰에 뛰어들면서 두 ‘유통 공룡’의 맞대결이 예고된 가운데, 이번 인수전이 순위 탈환의 기회가 돼줄지 관심이 모아진다. 대표적인 규모의 경제 시장인 편의점 업계에서 점포 수를 대폭 늘릴 절호의 기회라는 분석과 동시에 일각에서는 외려 ‘계륵´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예비입찰에는 롯데(세븐일레븐)와 신세계(이마트24)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다음달쯤 본입찰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입찰 성공하면 업계 순위 뒤집을 기회

두 기업이 이번 입찰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무엇보다 점포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롯데와 신세계는 유독 편의점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 점포 수만 해도 지난달 말 기준 CU가 1만 3010개, GS25가 1만 2919개를 기록한 반면 세븐일레븐은 9535개, 이마트24는 3413개로 큰 격차를 보이는 상황이다. 미니스톱은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에 2535개의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으로서는 미니스톱을 인수할 경우 점포 수가 1만개를 넘어서 1, 2위를 바짝 추격할 수 있다. 이마트24도 점포 수를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최근 업계에서 근접 출점 제한 조치가 긍정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도 경쟁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후발 주자들 입장에서는 해당 조치가 시행될 경우 대규모 신규 출점이 어려워져 이번 인수전이 순위를 뒤집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는 까닭이다.

●브랜드 교체·가맹점 상권 조정 등 부담

그러나 미니스톱 인수로 외려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간판 등 브랜드 교체 등을 위해서 기존 미니스톱 가맹점주들을 설득하고 가맹점 사이에 상권이 중복될 경우 이를 조정하는 등 새로운 가맹점과의 관계 재정립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률이 0.22%에 그치는 등 미니스톱의 저조한 수익성도 부담 요인이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10-03 2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