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반도체 경기 회복 예상…ICT·기계·조선업 반등할 것”

“내년 반도체 경기 회복 예상…ICT·기계·조선업 반등할 것”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11-17 17:56
업데이트 2019-11-18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연, 2020년 산업별 경기 전망

건설·자동차는 침체 못 벗어날 듯
“대외 불확실성, 국내 전이 차단을”
이미지 확대
올해 극심한 부진을 겪었던 반도체 경기가 내년에 회복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경기가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계와 조선 등도 바닥을 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건설이나 자동차 등은 여전히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2020년 주요 산업별 경기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내년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됨에 따라 ICT 산업은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ICT 생산은 전년 대비 올해 12.0% 감소하지만 내년에는 2.0% 증가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9.2% 감소한 수출 역시 내년에는 5.1% 증가할 것으로 현대연은 내다봤다.

현대연은 내년 ICT 산업 경기 반등의 근거로 기저효과,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 5세대 이동통신(5G) 본격 도입 등을 꼽았다.

품목별로는 내년 반도체의 경우 낸드플래시 중심으로 가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5G·클라우드 컴퓨팅·사물인터넷(IoT) 투자 증대 등에 따른 결과다.

스마트폰도 중저가 제품 확대, 폴더블·프리미엄폰 카메라 경쟁 등의 요인으로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현대연은 기계산업의 경우 수주가 올해 6.5% 감소했지만 내년에는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규 수주량 기준으로 올해 50.4% 감소를 기록한 조선업도 내년 37.5% 증가로 반등할 전망이다.

나머지 산업은 내년에도 회복에 다다르지 못할 것으로 현대연은 내다봤다. 올해 전년보다 6%(건설수주액 기준) 줄어든 건설업은 내년에도 2% 감소하며 침체를 이어 갈 것으로 봤다. 공공·토목 수주는 증가하지만 민간·건축 수주는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자동차는 생산 기준으로 올해 1.7% 감소한 데 이어 내년에도 2.3%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현대연은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고 국내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면서 “수출경기 회복과 통상마찰 방지에 주력하고,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중장기 산업 전략도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9-11-1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