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납품 TSMC 타격 땐 ‘반사이익’… 장기적으론 메모리 시장도 악영향 우려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쇼핑몰 바깥에서 한 남성이 자신의 휴대폰을 검색하는 2018년 12월 모습. 미국의 제재에도 화웨이는 2019년 매출이 전년보다 18% 늘었다고 밝혔다. AP 자료사진
미국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의 기술을 활용한 외국 반도체 제조업체는 미국의 허가 없이 중국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할 수 없도록 한다는 내용의 수출 규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히며 화웨이 ‘목조르기’에 나섰다. 이에 대해 중국은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미국의 애플, 퀄컴, 시스코 등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올릴 준비가 됐다고 맞불을 놓으며 미중 무역분쟁이 재점화되는 양상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로 화웨이의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는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가 타격을 받으며 2030년 시스템반도체 1위를 목표로 하는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TSMC는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의 주문을 받아 납품한다. 이는 TSMC 전체 매출의 14% 정도다.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가 스마트폰 생산에 어려움을 겪으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가 늘어날 거란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화웨이가 제품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의 주력인 메모리 시장까지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지난 2018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화웨이는 삼성전자의 5대 매출처 가운데 하나였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장기화하고 제재가 강화된다면 메모리 시장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그렇게 되면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등 미국 기업들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거기까지 비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20-05-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