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패션 ‘코로나 직격탄’에 판매 뚝… 해외 값비싼 브랜드는 ‘완판’ 급신장

토종 패션 ‘코로나 직격탄’에 판매 뚝… 해외 값비싼 브랜드는 ‘완판’ 급신장

심현희 기자
입력 2020-07-31 01:44
업데이트 2020-07-31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토종 브랜드 매장 300~400개 사라질 듯
빈폴 스포츠 100개 폐점·라푸마 30개 철수
佛 메종키츠네 매출 70%·아미 170%↑
삼성물산 수입 브랜드 덕 영업 적자 면해
백화점도 해외 브랜드 모은 매장 선보여
포스트 코로나시대 극명한 ‘소비 양극화’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패션 토종 브랜드는 직격탄을 맞고 몸집을 줄이는 반면 해외 브랜드는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로 의류 판매가 급감하면서 전국 토종 브랜드 매장 약 300~400개가 사라질 예정이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간판 브랜드 빈폴의 스포츠 라인을 중단하고, 내년 2월까지 매장 100여개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기로 했다. 액세서리 라인은 온라인 사업으로 전환한다. LF는 사업 중단을 선언한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마의 매장 30여개를 올해 중으로 철수하고, 헤지스·티엔지티·마에스트로 등 매장을 대폭 정리할 방침이다.

반면 메종키츠네, 아미, 10꼬르소꼬모 등 이들이 수입하는 브랜드들은 코로나 기간에도 매출이 급상승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수입하는 프랑스 브랜드 메종키츠네는 이번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하트 로고로 유명한 프랑스 브랜드 ‘아미’(Ami)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매출이 170% 신장했다. 지난 1분기 약 300억원의 적자를 봤던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해외 브랜드의 약진에 힘입어 2분기에는 10억원 영업이익을 냈다. 관계자는 “인기 해외 브랜드의 디자인 스셔츠, 카드 지갑 등 올 시즌 상품들이 대부분 완판된 상태”라고 전했다.

해외브랜드가 불티나게 팔리자 백화점들은 아예 해외 브랜드 위주로 매장을 재단장하고 있다.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은 빈폴, 헤지스 등 토종 캐주얼 브랜드를 폐점하고 지하 2층에 ‘해외 컨템포러리 브랜드’만을 모은 매장을 리뉴얼해 개점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도 구찌 여성 전문 매장, 톰 브라운 여성, 3.1 필립림, 디스퀘어드2 등을 오픈하며 해외 명품 의류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다.

토종 브랜드와 해외 브랜드의 명암이 교차하는 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두드러지는 ‘소비 양극화’ 현상의 단면이다.

업계 관계자는 “적당한 캐주얼 브랜드를 구매하는 소비층이 사라지고 저렴한 온라인몰에서 가성비 좋은 옷을 구입하거나 아예 비싼 해외 브랜드를 입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07-31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