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기업들 올해 1분기 경기 전망 ‘아직 흐림’...업종별 온도차도

창원 기업들 올해 1분기 경기 전망 ‘아직 흐림’...업종별 온도차도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4-01-03 15:08
업데이트 2024-01-03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원상의 조사 경기전망지수 ‘98’
운송장비와 기계·장비 등 회복세 기대
철강·금속, 기타 제조업 “더 힘들 것” 전망
매출액 늘겠지만 수익성 확보 어려움 지속

경남 창원지역 기업들이 전망한 올해 1분기 제조업 경기는 다소 어두웠다. 지난해 4분기보다는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 보면서도, 기업 수익성 확보에는 어려움이 이어질 것이라 내다봤다.

창원상공회의소는 3일 창원지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 1분기 창원지역 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내놨다.

153개 기업이 참여한 조사 결과, 경기전망지수(BIS)는 98.0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84.8보다는 높았다. 경기전망지수는 100 이상이면 기대심리가 낙관적임을, 100 이하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이미지 확대
창원상공회의소 전경. 2024.1.3. 창원상공회의소 제공
창원상공회의소 전경. 2024.1.3. 창원상공회의소 제공
창원상공회의소는 금리인상·재정긴축 등 투자심리 악화와 원자재가격상승, 고물가 등 생산자물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주력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부진 장기화, 엔화 약세에 따른 글로벌 경쟁 강도 심화 등이 올해 1분기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경기전망지수가 약보합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항목별 전망BSI는 매출액(103.3), 설비투자(91.5), 영업이익(90.2), 자금사정(78.4) 등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회복이 수익성 확보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황 지속과 이 같은 여건이 기업 자금사정 악화로 이어지고 설비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것이다.

다만 업종별로 경기전망 온도차가 있었다.

기타운송장비제조업(114.3), 기계·장비제조업(103.9), 자동차·부품제조업(103.8)은 1분기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이와 달리 철강·금속(80.0), 기타제조업(76.9)은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기타운송장비제조업은 주요 업종인 조선과 항공, 철도장비의 잇단 국내외 수주 실적과 이에 따른 낙수효과를 기대했다. 자동차와 부품 업종은 지난해에 이어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다.

하지만 수입 비중이 높은 철강금속제품제조업은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상승기조 등으로 수익성 확보 어려움을 전망했다. 엔저영향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일본산 철강제품 수입증가도 지역 내 철강금속제조업 체감 경기를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지난해 계획한 영업이익 목표치를 달성했느냐는 질문에 응답업체 59.5%는 ‘목표치에 미달했다’고 답했다. 26.1%는 ‘목표 수준을 달성했다’고 답했고, 14.4%는 ‘목표수준을 초과 달성했다’고 말했다.

목표치에 미달한 주된 이유는 ‘내수판매 부진’(38.5%), ‘수출부진’(24.2%), ‘원자재가격’(20.9%), ‘고금리’(9.9%) 등을 꼽았다.

지난해 투자실적 목표치 달성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업체 42.5%가 ‘목표치에 미달했다’고 답했다. 주된 이유로는 ‘사업계획 축소·지연’(49.2%), ‘고금리부담’(26.2%)을 들었다.

창원상공회의소는 “올해도 기업 수익성 확보에는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하지만 창원산업 주력인 제조업을 중심으로 보면 올해 1분기 경기를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기업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창원 이창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