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에어프레미아 2대 주주 올라
최근 경영권 확보한 티웨이항공에 집중키로
타이어뱅크에 지분 22% 전량 매각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에어프레미아 제공
지난 2월 저비용항공사(LCC) 티웨이항공을 품에 안은 대명소노그룹이 지난해 취득한 중장거리 항공사 에어프레미아의 지분 전량을 매각한다. 티웨이항공 운영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22%(6285만 6278주) 전량을 타이어뱅크 측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지난해 10월 에어프레미아의 2대 주주인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 유한회사의 지분 절반인 11%를 471억원에 인수했다. 잔여 지분 11%를 오늘 6월 이후 매수할 수 있는 주식매도청구권(콜옵션)을 확보했다.
에어프레미아 1대 주주인 AP홀딩스는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과 자녀들이 보유한 회사다. AP홀딩스가 추가로 지분을 확보하게 되면서 총 68% 지분으로 최대 주주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됐다. 만약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 경영권까지 확보하고자 했다면 양측의 경쟁이 벌어질 수 있었지만 순조롭게 정리가 된 모양새다.
이번 지분 매각 가격은 인수 가격인 주당 1600원에서 소폭 오른 주당 1900원이다. 지분 전량 매각 규모는 1200억원가량이다. 양측은 옵션 실행을 유예하고 매각하기로 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이번 거래가 항공 사업 포트폴리오 정비 차원이라고 밝혔다. 최근 티웨이항공 인수 계약을 체결한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의 경영권도 확보해 합병도 고려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유럽 노선을 가진 티웨이항공과 대형항공사(FSC)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이 있는 에어프레미아는 각기 노선이 겹치지 않기 때문이다.

티웨이항공이 2022년 3월 김포국제공항에서 공개한 A330-300기. 서울신문 DB
하지만 티웨이항공도 오는 7월 캐나다 밴쿠버 노선 신규 취항을 시작으로 향후 미주 노선 확대 운항도 가능하기 때문에 티웨이항공의 항공 사업 운영과 중장기 성장 전략에 집중하기 위해 에어프레미아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티웨이항공은 국내 및 아시아를 비롯해 파리, 로마 등 유럽 주요 지역까지 안정적인 글로벌 운항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자사가 보유한 국내외 호텔·리조트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시너지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
소노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에어프레미아 지분 매각은 전략적인 선택으로 향후 티웨이항공을 중심으로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항공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하면서도 내실 있는 성장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