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호조에… 한은 올 성장률 2.6→2.8% 또 상향

수출 호조에… 한은 올 성장률 2.6→2.8% 또 상향

장세훈 기자
입력 2017-07-13 23:08
업데이트 2017-07-14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년 만에 한 해 두 차례 올려… 11조 추경예산은 반영 안 해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8%로 0.2% 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지난 4월 0.1% 포인트 올린 데 이어 한은이 전망치를 한 해에 두 차례 올린 것은 2010년 이후 7년 만이다.
이미지 확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회의 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금통위는 임시 이전한 서울 태평로의 한 빌딩에서 처음 열렸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회의 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금통위는 임시 이전한 서울 태평로의 한 빌딩에서 처음 열렸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이주열 한은 총재는 13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내 경제는 주요국과의 교역 여건 변화나 지정학적 불확실성 요인이 있지만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 갈 것”이라면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이같이 수정한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한은이 전망치를 석 달 만에 다시 높여 잡은 데는 수출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 지난달까지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개월 연속 증가했고, 이달 1~10일 수출액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5% 늘었다. 수출 호조는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등 금융시장에도 훈풍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은 이번 전망치에 정부가 추진 중인 11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하지 않았다. 정부는 추경이 경제성장률을 0.2% 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3%대 진입도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다. 앞서 2014년 3.3%였던 경제성장률은 2015년과 지난해 각각 2.8%에 머물렀다.

한은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올리면서 관심은 기준금리 조정 여부에 쏠린다. 이날 이 총재 주재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연 1.25%로 동결 결정했다. 지난해 6월 0.25% 포인트 인하된 이후 13개월째 사상 최저 수준으로 유지됐다.

다만 기준금리 인상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현재 한은의 기준금리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정책금리(연 1.00∼1.25%)는 상단이 같다. 연준이 추가로 정책금리를 올리면 기준금리 역전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한은은 이미 ‘인상 신호’를 켜 놓은 상태다. 이 총재는 지난달 12일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며 3년 만에 처음으로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도 “성장세가 뚜렷해지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 축소 조정을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다만 “긴축으로 선회하는 것은 아니다”라고도 했다.

문제는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 부담을 키우는 등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다음달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발표 후 부동산시장 움직임, 오는 10월 발표되는 내년도 경제전망,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등을 살핀 뒤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7-1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