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5.1% 감소…2010년 이래 최대 감소폭

올해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5.1% 감소…2010년 이래 최대 감소폭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11-09 12:19
업데이트 2018-11-09 1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2018년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발표

올해 3분기 제조업 제품 국내 공급이 큰 폭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올해 3분기 101.2(2015년=100)로 지난해 동기보다 5.1%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0년 이래 가장 큰 감소율이다. 그만큼 내수시장 경기가 안 좋다는 의미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해외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실질)을 뜻한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지난해 4분기에 1.9% 감소한 후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0.8%, 0.6% 늘었으나 세 분기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추석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기업 설비투자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이었던 추석이 올해 9월로 당겨지면서 3분기 조업일수가 4일 줄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국산은 6.0% 감소해 통계 작성 후 가장 많이 감소했고, 수입은 2.6% 줄었다. 소비재 국내공급지수는 휴대전화와 알루미늄 주방용품 등을 중심으로 2.9% 줄어들면서 통계작성 후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자본재 국내공급지수는 웨이퍼 가공 장비와 특수선박(비상업용) 등이 감소해 12.9% 줄었다. 이는 2013년 1분기(-15.5%)이래 22분기(5년 6개월)만에 최대 폭 감소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정제(4.8%)는 증가했고 기계장비(-15.1%), 1차 금속(-9.0%), 자동차(-4.3%) 등은 감소했다.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26.1%로 전년 동기 대비 0.5% 포인트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종에서 작년에 설비투자가 활발했기 때문에 그로 인한 기저 효과가 있으며 자동차 산업이나 건설업이 부진해 중간재 수요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