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 재개 안 한다

정부,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 재개 안 한다

류찬희 기자
입력 2021-06-08 20:40
업데이트 2021-06-09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승욱 산업부 장관 기자간담회

“원전 안전 담보 전까지 다른 입장 없어
가을쯤 소형원전 연구개발 예타 진행
차량용 반도체 부족 해법 안 보여 고민”
이미지 확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가 현재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을 재개하지 않겠다고 했다. 대신 올가을 3세대 개량형 소형원전(i-SMR)에 대한 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탈원전 정책의 수정 가능성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여부와 관련해 “정부는 원전 안전 부분이 담보되기 전까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정책을 바꾸려면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합의, 진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데 단시일 내 이런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소형원전(SMR) 건설은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문 장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해 차세대(4세대) SMR 기술을 확보하도록 노력하고 올가을쯤 개량형 소형원전(i-SMR) 연구개발 예타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에 대해서는 “안타깝게도 차량용 반도체 부족 문제는 단시일 안에 해결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털어놨다. 그는 “파운드리(반도체 설계를 넘겨받아 생산하는 업체) 생산 능력이나 세계적인 수급 불균형을 볼 때 해법이 보이지 않아 산업부도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현대차와 삼성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 협력했기 때문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등 핵심전략산업 공급망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부분은 초격차를 더욱 늘리고, 쫓아가는 부분은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다음달 ‘K배터리 전략’을 발표하고 연말까지 핵심산업 브레인 확보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수출 확대도 강조했다. 문 장관은 “2018년 최대 수출을 기록했는데 올해 그 기록을 경신하도록 지원하겠다”며 “수출물류 적체 해소, 원자재 수급 불안 해결, 통상환경 변화 대응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21-06-09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