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임직원 4년새 7천명 감소…M&A ‘활발’

증권사 임직원 4년새 7천명 감소…M&A ‘활발’

입력 2015-10-14 07:48
업데이트 2015-10-14 0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증권사 임직원이 지난 4년여간 7천명 이상 줄었다.

증권사 간 인수·합병(M&A)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증권사 수도 감소했다.

14일 자본시장연구원이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 2010년 말 기준 4만3천364명이던 증권사 임직원 수는 올해 6월 말 3만6천78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기간 국내 점포수는 1천818개에서 1천156개로 감소했다.

이는 증권업이 장기불황을 겪으면서 증권사들이 구조조정과 인력 감축을 진행한 데 따른 것이다.

국내 증권사 수도 2010년 말 64개에서 올해 9월 말 기준 56개로 줄었다.

안유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시장 규모에 비해 많은 중소형 증권사들이 수수료율 인하 등 출혈경쟁을 해오다 보니 수수료 수익 위주 사업이나 인력 구조조정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혔다”며 “최근에 M&A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3년 말 금융당국이 내놓은 정책 중 투자은행(IB) 지정 자기자본 요건 완화, 연결회계기준 영업용순자본비율(NCR) 도입, 사모펀드 운용업 허용 등도 증권사 간 M&A 촉진에 영향을 미쳤다.

작년에 유안타금융그룹이 옛 동양종금증권을 인수한 데 이어 옛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 간 합병, 메리츠종금증권의 아이엠투자증권 인수 등 M&A가 잇달아 진행됐다.

안 연구원은 “M&A를 통해 취약한 사업부문 강화와 자기자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대형사 기준에 부합해지면 다양한 사업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양한 사업영역이 주로 대형 증권사를 중심을 맞춰져 있어 위탁매매 수익 의존도가 높은 중소형 증권사는 수익성이 나빠지면 퇴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차별화된 상품이나 영업전략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