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특수’ 못 누린 국내 증시

‘올림픽 특수’ 못 누린 국내 증시

조용철 기자
입력 2018-02-26 22:48
업데이트 2018-02-27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 4.5%↓… 소치 땐 3%↑

통신ㆍ유통ㆍ음식료품 업종 부진
삼성전자만 3% 올라 최고 수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마케팅 특수, 5G(5세대 이동통신) 시범사업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증시는 올림픽 특수를 누리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금리 인상이라는 외부 충격이 2월 국내 주식 시장을 지배한 탓이다. 애초 증권사들이 내놓은 ‘수혜주’ 분석이 성급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지 확대
평창동계올림픽이 이슈로 떠오른 2월 코스피지수는 하락세를 보였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일부터 23일 사이 4.56% 하락했다. 2014년 소치동계올림픽 당시 코스피지수가 2월 한 달 동안 3.12% 상승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번 올림픽 기간 코스닥도 3.68% 떨어져 코스피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업종별 지수를 보더라도 올림픽 효과는 크지 않았다.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됐던 통신업종, 유통업종 지수가 각각 7.33%, 6.90% 내렸고, 음식료품 업종도 5.86% 하락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오히려 올림픽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의료정밀 업종이 5.92%, 의약품 업종이 2.82% 올라 바이오주 강세를 증명했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예를 들어 올림픽을 시청하기 위해 UHD TV를 새로 사는 것 같은 움직임이 있어야 하지만, 그런 것들은 보급이 이미 완료된 상황”이라면서 “스포츠 이벤츠에 따른 이미지 증진 효과도 이머징 마켓(신흥시장)에 해당되는 이야기여서 마냥 올림픽 특수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개별 종목으로는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힌 제일기획이 10.7% 떨어졌고, 역시 광고 특수를 기대한 이노션도 8.16% 하락했다. 올림픽 공식 파트너사이자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인 KT의 경우도 2월 초부터 23일까지 4.56% 내리며 장밋빛 전망을 내놓은 증권사들을 머쓱하게 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02-2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